부산·안동 주축으로 학계와 맞손
환경부에 청원서 제출 위한
전국구 서명운동 시작

속보 = 동해안에 둥지를 튼 쇠제비갈매기<본지 5월 27일 1면, 4면 보도>를 보호를 위해 학계와 부산시·안동시 등 지자체가 힘을 합쳤다.

이들 기관들은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을 대상으로 ‘여름철새 쇠제비갈매기의 멸종위기종 지정’ 청원서 제출을 준비하며 쇠제비갈매기 구하기에 나섰다.

30일 조류생태환경연구소 등에 따르면 쇠제비갈매기의 멸종위기종 지정을 촉구하는 청원서를 환경부에 제출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서명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그동안 환경부 등은 쇠제비갈매기가 멸종위기종이 아니라며 전수조사에서 제외하고 있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이 청원서에는 쇠제비갈매기가 전세계적인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고 구체적인 복원시설 등을 통해 종보호 지원을 하고 있는 사례를 제시했다.

영국과 유럽연합(EU)이 ‘LIFE Nature Project’의 일환으로 기금을 받아 쇠제비갈매기 서식지마다 관리자를 두고 일반인들의 인식전환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일본은 동경만 개발로 인해 해안 서식지가 줄어들면서 쇠제비갈매기의 멸종이 우려되자 선제적으로 쇠제비갈매기복원센터 운영과 함께 인공서식지를 조성해 쇠제비갈매기 종복원에 성공했다고 덧붙였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쇠제비갈매기를 멸종위기종에서 제외하고 있지만 이미 호주·뉴질랜드·싱가폴·홍콩 등 다수 국가가 쇠제비갈매기를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거나 복원작업을 하고 있다.

세계조류연맹(IUCN) 등 국제기구 역시 쇠제비갈매기를 멸종위기등급(Conservation Status) 가운데 관심종(Least Concern) 등급으로 분류하는 중이다.

안동시와 임하댐수운관리사무소, K-water 안동권관리단은 안동호 ‘호계섬’ 인근 무인도에서 산란 중인 쇠제비갈매기 보호 대책을 마련해 시행중이다.

어선이나 낚시배 등 선박 접안을 통제하고 산란지 인근에 선박 1척을 투입해 산란기 쏘가리 낚시 단속을 하고 있다.

안동시는 국내 최초로 쇠제비갈매기의 안동호 인공 모래섬 서식 환경을 조성해 산란을 하는데 성공했다.

바지선 위에 배수가 잘되도록 부직포를 깔고 모래 120여t을 얹은 뒤 모래섬과 비슷한 지형으로 조성하고 부화한 새끼를 보호를 위해 수리부엉이 등 천적을 피할 수 있는 은신처, 수면에서 새끼들이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경사면을 만드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

국내에서는 이미 쇠제비갈매기 최대 번식지였던 낙동강하구에서 최근 수년간 번식쌍이 1천500쌍에서 3쌍 이하로 극단적인 감소현상을 보이고 있고 동해안의 포항 칠포 해안 서식지에서도 십여마리 이하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계는 국내 쇠제비갈매기의 기존 서식지가 급격하게 줄거나 새로운 서식지가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등 개체수 변동이 안정적이지 않은데다 쇠재비갈매기의 서식조건이 사람들의 접근으로 손쉽게 파괴되는 백사장 등인 점 등을 들어 시급히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박희천 조류생태환경연구소 소장은 “쇠제비갈매기의 멸종위기종 법정 지정이 우선적으로 추진돼야 하며 하루가 다르게 파괴되어 가는 서식지 보호가 급선무”라며 “이는 복원에 성공한 황새·따오기·두루미·재두루미 등 다른 조류와도 자연적응 및 서식환경 구축의 연계 성공을 이루는 토대가 된다”고 말했다.

/황영우기자 hyw@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