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 11월, 수능을 일주일 앞두고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은 ‘자연지진’이 아니라 지열발전소 때문에 발생한 ‘촉발지진’이라는 정부연구단의 결론이 나왔다.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은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포항지진이 인재(人災)였다는 사실은 대자연을 함부로 건드리면 어떤 재앙이 초래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국가는 신속하고 확실한 책임성을 보여줘야 마땅하다.

정부조사연구단 이강근 연구단장(서울대 교수)은 이날 “‘유발지진’은 자극이 된 범위 내에서 ‘촉발지진’은 자극이 된 범위 너머를 뜻해 그런 의미에서 ‘촉발지진’이라는 용어를 썼다”며 “자연지진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정부연구단에 참여한 해외조사위원회는 “지열발전을 위해 주입한 고압의 물이 알려지지 않은 단층대를 활성화해 포항지진 본진을 촉발했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해외조사위는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포항지진 발생지 주변의 지열정(PX1, PX2) 주변에서 이루어진 활동과 그 영향 등을 자체 분석했다며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밝혔다. 해외조사위는 “결론은 지열발전 주입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단층대가 활성화됐다는 것”이라며 “PX-2(고압 물) 주입으로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단층대가 활성화됐고 이것이 결과적으로 본진을 촉발했다”고 설명했다.

포항지진이 일어난 직후 과학계 일각에서는 진앙지와 지열발전소 사이의 거리가 멀지 않다는 점을 들어, 지열발전소에서 지하에 주입한 물이 단층대를 자극해 지진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포항지진 조사연구단’을 구성해 지난해 3월부터 약 1년간 정밀조사를 해왔다.

2016년 9월 경북 경주의 규모 5.8 지진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컸던 포항지진으로 인한 피해액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2017년 12월 발표 기준으로 546억1천800만 원, 한국은행 포항본부 추산 3천323억5천만 원 가량으로 집계됐다. 지진으로 인한 직접적 피해 외에도 부동산 가격 하락과 정신적 충격 등을 고려하면 피해액은 조 단위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아직도 1천 명이 넘는 이재민 중 일부는 아직도 시에서 마련해준 대피소를 떠나지 못하고 있다. 포항지진이 인재였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이상 정부는 미적거려서는 안 된다. 적극적인 자세로 국가의 책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어야 한다. 또다시 이 결론을 전 정권의 허물을 캐내는 정치선동 푸닥거리의 소재로 쓸 궁리에 빠져서는 안 된다. 수년째 정상적인 삶을 영위하지 못하고 있는 포항 지역민들의 애환부터 서둘러 헤아려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