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銀 대구경북본부 평가
대구 서구·봉화군 등
상대적으로 크게 부진

대구 수성구와 경북 구미시가 대구·경북 시·구·군 가운데 삶의 질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구 서구와 동구, 경북 봉화군과 예천군, 영덕군, 의성군, 군위군, 청송군, 영양군 등은 상대적으로 크게 부진했다.

13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발표한 ‘대구경북 시군구별 삶의 질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연구에 따르면 경제·고용분야, 교육·문화분야, 복지·보건분야, 교통·안전(정보)분야, 환경·공동체 등 삶의 질의 영역을 5가지 영역 38개 지표를 표준화지수로 종합 분석한 결과, 대구는 2013년은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 북구, 중구, 남구, 동구, 서구 순이었으나, 2016년은 수성구, 중구, 달성군, 달서구, 북구, 남구, 서구, 동구 순이었다,

2016년 가장 높은 수성구는 환경·공동체부문과 교통·안전부문, 교육·문화부문 등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중구는 경제·고용부문과 교육·문화부문, 복지·보건부문, 환경·공동체 부문이 모두 양호했다. 서구는 복지·보건, 동구는 교통·안전를 제외하고 4개 영역에서 모두 부진했다.

수성구는 경제·고용부문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고르게 삶의 질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됐고 지속적인 도심정비를 통해 정주환경 발전과 수성의료지구와 같은 경제자유구역에 기업유치 등을 통해 경제고용 분야를 개선할 경우 삶의 질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중구는 경제·고용부문과 교육·문화부문이 양호한 데다 복지·보건 부문과 교통·안전부문이 2013년에 비해 크게 개선됐으며, 특히 2014년을 기점으로 인구가 감소했는데도 불구하고 교육·문화시설과 복지·보건시설이 점차 확대돼 삶의 질에 높아졌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취약한 교통·안전부문과 환경·공동체부문에 강화가 필요하며, 자동차 천대당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주민 1인당 화재발생건수, 개인의 안전의식 인식도, 사회적 관계별 소통정도와 주민 1인당 생활폐기물 배출량, 자살률, 투표율 등도 개선시켜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동구의 환경·공동체부문과 경제·고용부문, 교육·문화부문이 부진했다. 상수도보급률과 가족관계 만족도, 일반폐기물 재활용률, 자살률, 중산층 이상 비율과 1인당 GRDP, 생산가능인구, 인구 천명당 종사자수, 여가활동 만족도, 예술행사 관람률, 인구당 문화시설기반수 등에 대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은 2013년의 경우 구미시, 포항시, 울릉군, 경주시, 청도군, 김천시, 경산시, 안동시 순이었으나, 2016년은 구미시, 울릉군, 포항시, 경주시, 김천시, 경산시, 안동시, 칠곡군 순으로 높았다.

구미시는 교육·문화부문과 경제·고용부문이 상대적으로 높은 등 5개 영역 모두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인구당 의료기관 병상수와 사회복지시설수를 늘리고, 스트레스 인지율을 낮추는 등 상대적으로 약한 복지·보건부문을 강화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시는 경제·고용부문을 제외하고, 교육·문화부문과 교통·안전부문, 복지·보건부문, 환경·공동체부문 등이 양호해 고용률이나 인구증가율, 1인당 세출액 등 취약한 경제·고용부문과 가족관계 만족도와 주민 1인당 생활폐기물 배출량 등 환경·공동체부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울릉군은 2010년 이후 1만명 수준에서 거의 정체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교통·안전시설과 교육·문화시설, 복지·보건시설 등이 점차 확대된 반면 환경·공동체부문가 부진해 하수도 보급률과 일반폐기물 재활용률, 주민 1인당 생활폐기물 배출량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봉화군은 5개 영역 모두 부진했고, 특히 복지·보건부문과 교육·문화부문이 부진해 주관적 건강수준 양호 인지율과 건강보험 적용인구, EQ-5D지표, 주민 1인당 의료기관 병상수와 사회복지시설수 등과 문화예술시설 만족도와 인구 천명당 유치원 원아수와 사설학원수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천군의 단순 종합표준화지수는 23개 시군 중에서 2013년 20위에서 2016년 15위 수준으로 높아졌고, 가중 종합표준화지수는 2013년 21위, 2016년 12위로 중위수준을 나타냈다. 영역별로는 환경·공동체부문과 경제·고용부문은 양호하였지만, 복지·보건부문과 교통·안전부문, 교육·문화부문이 부진하였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