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뷰티산업의 현재와 미래 (下)

▲ 사과와 섬유로 유명한 도시 대구는 `천연 화장품 강세 지역`이기도 하다. 뷰티산업에 눈을 돌린 대구는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서 새로운 화장품 개발과 판로 확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에 화장품 기업이 있는 것을 아시나요? 대구에서 화장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그 수도 상당합니다. 몇 개의 기업은 매출액이 100억원을 상회하기도 합니다”

섬유와 사과의 도시로만 생각됐던 대구에 뷰티산업이 있었다. 이는 대구 토박이인 기자에게도 신선한 충격이었다. 더욱 재미있는 것은 한의사를 양성하는 전문기관인 대구한의대학교에도 화장품과 관련한 학과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대구한의대학교에는 △제약공학과 △화장품제약자율전공 △바이오산업융합학부(화장품약리학전공·화장품소재공학전공·식품생명공학전공) △화장품공학부(화장품공학전공·산업품질공학전공·산업디자인공학전공) 등이 존재한다. 대구한의대학교는 미용을 넘어 한방과 바이오산업, 의과학 분야의 특성화에 주력한 것이다.

뿐만 아니다. 각종 포털사이트에서 `대구 화장품`을 검색하면, `천연 화장품`이 연관 검색어로 떠오르고 있다.

대구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산업`과 `뷰티산업` 등을 미래먹거리로 상정하고 있다. 경북매일은 앞서 대구 의료산업의 상징인 첨단의료복합단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회에서는 대구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뷰티산업에 대해 알아본다.

`K-뷰티산업` 육성 위해 조례 제정
지역 화장품 관련기업 지원 확대
국가별 규격 인증획득 위한 컨설팅
해외용 디자인 리뉴얼화 지원
세계적 `뷰티도시` 도약 위해 정진

 

◇ 대구는 왜 뷰티산업에 주목하나

지난 2015년 전 세계의 화장품 시장 규모는 3천516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14년의 시장 규모에 비해 4.8% 증가한 수치였다. 지역별 시장 규모는 아메리카 지역이 1천197억 달러로 가장 컸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1천170억 달러로 뒤를 이었고, 유럽은 942억 달러 수준이었다.

같은 해 국내화장품 시장 규모는 9조355억원이었다. 이는 2014년의 시장 규모에 비해 10.5%나 증가한 수준이다. 화장품의 생산액은 10조7천329억원 규모였으며, 수출은 2조9천281억원이었다. 반면, 수입은 1조2천307억원에 그쳤다.

이 같은 추세에 발맞춰 대구시는 지난 2015년 12월 31일 `뷰티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뷰티산업 육성 및 지원을 위한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 시행키로 했다. 특히 대구 K-뷰티 화장품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대구테크노파크 한방산업지원센터와 지역 화장품 기업 육성을 위해 노력 중이다.

특히 권영진 대구시장은 “(재)대구테크노파크 한방산업지원센터와 함께 지역 화장품 관련 기업의 해외 마케팅 활성화를 위해 내년에는 지원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대구시는 왜 뷰티산업에 집중하는 것일까?

이는 2000년대 초반부터 불어온 한류열풍과 무관하지 않다. 중국과 동남아 등에서 각광 받고 있는 한류는 우리나라를 미의 척도로 만들었다. 여기에 전통적인 미(美)의 고장으로 불려온 대구가 뷰티산업을 주목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 아닐까.

 

◇ 대구 뷰티산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대구뷰티수출협의회는 지난 7월 탄자니아 정부 경제협력사절단과 K-뷰티 제품에 대한 공동 상생 발전을 하기 위한 탄자니아 민간투자 협력을 바탕으로 MOU를 체결했다.

또 대구시가 추진하고 있는 `지역 화장품 수출활성화 지원사업`은 해외 진출을 위한 해외 규격인증 컨설팅 지원, 해외 트랜드에 맞는 제품 포장 디자인 개선 지원, 중국과 베트남 등 해외 화장품 유망 전시회 참가 등을 지원하면서 모두 276만 달러의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5회째 개최된 `대구국제뷰티엑스포`에는 화장품 및 뷰티 관련 기업 180개사가 참가했으며, 해외 바이어와의 수출상담회에서는 1천982만 달러의 계약 성과를 거뒀다.

그런가 하면, 답답한 행보를 보였던 중국의 사드 보복도 해빙무드로 돌아서면서, 지역의 K-뷰티 산업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결과로 지역 기업인 ㈜에스엘씨는 기존의 OEM 전문회사에서 자체 브랜드 개발에 따른 생산 물량 증가로 올해 초 제2공장을 신축했다. 더욱이 기존 마스크팩 제품을 프리미엄화하면서 판매량이 증가했고, 지난해 매출의 2배 이상(2016년 84억6천만원 → 2017년 9월 163억5천600만원)의 신장을 이룩했다. 또 ㈜엠알이노베이션은 친환경 농자재 제조 기업에서 화장품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1년여 간 중국 사드 보복 조치로 인해 K-뷰티가 고전했으나, 수출 다변화 전략을 통해 미(美)의 고장 대구 K-뷰티 산업을 세계 글로벌화 시대에 앞장설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과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대구의 대표적인 화장품 기업은

(주)SLC는 화장품 업계에서 모델링마스크로 성공한 기업이다. (주)SLC의 마스크팩은 여러번의 사업실패 끝에 7억원의 원재료비를 들여 성공했다. 여기에 적용된 필오프기술은 타 업체가 모방조차 힘든 상품이라고 한다.

때문에 대구 달성군 논공에 자리잡고 있는 (주)SLC는 마스크팩 국내시장 1위를 내놓지 않고 있다. 특히, 자체 브랜드 개발에 역점을 두면서 매출액은 매년 약 100% 증가하고 있는 상태다.

지난 2014년 30억원에 불과하던 매출액은 2015년 49억원으로 늘었으며, 2016년에는 84억원을 기록했다. 그리고 올해는 170억원의 매출을 내다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주)SLC는 지난해 6월 생산시설 확대 및 신규 설비 충원을 위한 제2 생산공장 준공을 통한 ISO 22716 인증을 획득했다. 또 유럽 인증 CPNP 등록 및 무슬림 시장을 겨냥한 할랄 인증도 땄다. 여기에 (주)SLC는 2018년 초 생산물량 증가에 따른 제3생산 공장의 착공도 준비 중이다.

그런가 하면, ㈜엠알이노베이션은 해외 외자투자와 수출 지원으로 성장을 달성하고 있는 지역 기업이다.

㈜엠알이노베이션은 친환경 농자재 제조 기업에서 화장품 산업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이를 통해, 지난 2013년 화장품 매출액이 전무했으나, 2016년에 회사 매출의 50%가 화장품 수출이 차지했다. 또 2017년에는 매출액 중 약 60%가 화장품 수출액이었다.

특히, 해외 기업(Vegalab S. A)은 ㈜엠알이노베이션의 R&D 기술력 및 성장성을 보고 500만 달러의 지분을 투자하기도 했다. ㈜엠알이노베이션은 해외 자본 투자에 따라 수성의료지구 내 지식기반 산업시설용지에 본사 이전 및 R&D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 대구 뷰티산업의 미래

대구시는 다가오는 2018년 화장품 기업들의 현장 목소리를 확인·지원하기 위해 `K-뷰티 수출 컨소시엄 활성화 사업`을 대구테크노파크 한방산업지원센터 주관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우선 국가별 요구에 맞는 해외 규격 인증 획득을 위한 컨설팅과 해외 소비자 및 트렌드에 맞는 제품의 디자인 리뉴얼화를 지원한다. 또 해외시장 동향 파악 및 제품 홍보를 통해 수출판로를 개척할 수 있는 유망 화장품 전시회(유럽, 중국, 아시아권) 참가도 돕는다. 아울러 선별된 해외 유망 바이어를 섭외해 상담할 수 있는 무역사절단도 유럽 및 아시아권으로 파견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다. 계약성과가 높은 바이어를 국내로 초청해 상호 신뢰를 높일 수 있는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계획하고 있으며, 국내·외 대형 MD와 마케팅 상품 기획 및 입점 상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구시는 뷰티산업이 대구의 미래 먹거리로 충실하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美)의 고장 대구가 세계적 뷰티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키우게 되는 셈이다.

 

실제로 지난달 15일부터 사흘 간 홍콩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7 홍콩 코스모프로프 아시아(Cosmoprof Asaia Hing-Kong 2017)`에 참가한 지역 화장품 기업들은 총 98건의 상담을 통해 130만 달러 규모의 수출상담 실적을 올렸다. 현지에서 체결한 계약 금액도 15만 달러였다.

한국 뷰티 관련 제품에 대한 달라진 모습은 이날 박람회장 곳곳에서도 감지됐다.

지난 3월 중국에서 개최된 광저우 국제 미용 전시회에서는 사드 배치 등 민감한 정치적인 문제로 한국관을 찾는 것을 다소 꺼리는 듯 했지만, 이번 박람회에서는 일반 참관객과 바이어들의 긴 줄이 늘어설 정도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신뢰가 여전하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

대구TP 박진석 한방산업지원센터장은 “사드 사태 후 홍콩 시장은 중국으로 가는 우회 창구로 큰 주목을 받았던 곳”이라며 “한·중 관계의 해빙 무드 속에 치러진 이번 전시회를 발판으로 다시 한번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끝>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