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라는 말처럼 추석(秋夕)은 풍요의 계절이다. 오래전부터 고향을 찾아 그동안 객지생활로 만나지 못했던 부모 형제를 만난다는 기대감에 들뜬 당신들, 가족 친지들과 오붓한 시간을 보내며 풍요롭고 넉넉한 마음으로 추석 명절을 맞으시길 기원한다. /삽화=한국화가 이철진

민족 고유의 최대 명절 추석이 어김없이 다가오고 있다. 한 해 농사를 마무리 지으며 조상님께 감사의 인사를 올리고 가족 친지가 모여 음식과 정을 나누는 우리의 반가운 대명절, 추석의 유래와 의미를 되새겨본다.


수확한 햇곡식으로 제사 지내며 내년 풍년 기원
`가배`는 길쌈놀이, `한가위`는 크다 라는 뜻 가져
칭칭놀이·강강수월래 등 지역마다 다양한 놀이

□어울려 놀며 즐기던 추석의 기원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한가위, 또는 가윗날이라고도 한다. 한자로는 가배(嘉俳)라고 한다. 추석이 되면 무덥던 더위도 물러가고 서늘한 가을철로 접어든 때다. 그래서 추석을 중국에서는 중추절 또는 월석이라도고 불렀다.

추석의 유래는 신라 때부터 시작됐다. 삼국사기의 유리 이사금 편을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신라 제3대 유리왕 9년부터 전국 여자들이 두 편으로 나뉘어 음력 7월 16일 아침부터 8월 14일 밤까지 한 달 동안 집집마다 돌아가며 한자리에 모여 앉아 길쌈 내기를 시켰다고 한다.

이때 왕녀 한 사람이 감독이 돼 그 한 달 동안의 성적을 종합해 8월 보름인 추석날에 발표했다. 그 결과 진 편은 술과 음식을 장만해 이긴 편에게 대접했고 이날 종일토록 노래와 춤으로 즐겁게 놀았다고 한다. 그리고 이 날이 되면 길쌈을 하는 여자들뿐 아니라 남녀노소를 가릴 것 없이 모두 함께 즐겁게 지냈다. 이때는 한 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시기였던 만큼 먹을거리가 풍성해 덩달아 사람들에겐 푸근한 인심이 넘쳐났다. 특히 왕녀, 귀족, 궁녀들도 호화찬란하게 꾸며 입고 곱게 단장해 하루를 마음껏 놀았다고 전해진다. 백성들은 이 날을 가배 명절이라고 하며 이 날이 되면 온 나라에 만세소리가 울렸는데 이 때의 풍속이 오늘날까지 전해져 추석이 됐다.

추석에는 수확한 햇곡식과 햇과일로 제사상을 차려 조상에게 감사의 인사를 올리기도 했다. 차례상에는 내년 농사도 풍년을 이루도록 기원하는 바람이 함께 담겼다. 농경사회에서 결실의 기쁨을 만끽하고 다음 해의 풍년을 바라는 행위는 무척이나 중요했을 터.

달이 유난히 밝은 명절인 추석은 불리는 이름도 다양하다.

길쌈놀이라는 뜻을 가진 가배, `크다`와 `가운데`라는 뜻의 한가위가 그것이다. 가을을 초추, 중추, 종추의 석 달로 구분해 그중 가장 수확물이 풍성한 가운데라는 의미로 중추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추석` 하늘에 제(祭) 올리는 세시풍속

추석 무렵이 되면 넓은 들판에 오곡이 무르익어 황금빛으로 물들며 온갖 과일이 풍성해진다. 그래서 이 날에는 새 옷으로 갈아입고 집집마다 햇곡식으로 만든 술과 햅쌀떡에 햅쌀밥을 지어 조상께 제사 지내며 선조의 산소에 성묘를 했다. 우리 선조들은 조상님이 돌아가신 기제(忌祭)에 드리는 제사 말고도 명절날 차례를 드리는 풍습이 있다.

차례(茶禮)는 서양의 명절과 가장 다른 점이 바로 이것으로 단순히 먹고 즐기는 축제가 아니라 도리 곧 예(禮)를 되새겨 조상님과 후손이 함께 경건하게 치르는 문화다.

제사를 지내고 성묘를 끝낸 뒤 술과 햅쌀밥, 송편을 먹으며 즐겁게 하루를 지낸다.

이날 저녁 어린이들은 만세제끼를 하고, 젊은이들은 칭칭이놀이와 강강수월래 등을 부르며 추석 달빛아래 즐겁게 노는 풍속이 전해져 오고 있다. 특히 경상도와 호남지방, 전라도 여수 부녀자들이 강강수월래를 부르며 노는

것은 매우 색다르고 흥겹다.

농촌에서는 달빛아래 꽃송이를 단 고깔을 쓰고 농악을 울리며 즐겁게 논다. 서울 근교에서는 처녀들이 동그랗게 둘러서서 닭놀이 유희를 했다. 그리고 옛날에는 추석 때에도 널뛰기를 많이 했다. 지금은 거의 하고 있지 않지만 지방에 따라서는 지금도 이 풍속이 남아있다.

그네뛰기도 추석에 많이 하던 놀이이며 씨름, 줄다리기, 윷놀이 등이 추석 때 많이 하던 놀이였다.

□결실의 맛, 추석 먹을거리

추석은 설날과 함께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명절이다. 차례상을 차려 조상에게 감사의 인사를 올리고, 명절 음식을 가족과 이웃들이 나눠 먹으며 덕담을 주고받는다. 하지만 설날과 구별되는 차이점은 그해 수확한 햅쌀과 햇곡식, 햇과일로 조상에 대한 최고의 예의를 갖춰 차례상을 차린다는 점이다. 술도 햅쌀로 빚은 신도주를 올렸다고 전해진다. 먹을거리가 풍성한 결실의 시기이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그런 의미에서도 추석은 특별한 가치를 갖는 명절이 된다.

이때는 무엇이든 크고 두껍게 만들어 그릇에 가득 차도록 담아냈다. 모자라지 않도록 넉넉하게 만들어뒀다가 돌아가는 친지와 자식에게 나눠주는 게 미덕이었다.

추석의 대표적인 시절 음식은 송편이다. 송편은 멥쌀가루를 반죽해 반달 모양으로 만드는데 소로는 콩 팥 깨 밤 대추 등 모두 햇것으로 넣는다.

올해 수확한 올벼로 만든 송편을`오례송편`이라 한다. 오례송편은 한 해의 수확에 감사하며 조상의 차례상에도 올리는 추석명절의 시절음식이다. 반달 모양으로 만든 송편은 둘을 합치면 둥근 달을 이뤄 공동체 의식을 일깨우고, 각각의 반달은 둥글게 차오르는 미래 지향의 흥성(興盛)의 상징이기도 하며, 보름달만큼이나 꽉 차도록 곡식을 여물게 해 준 달에게 감사하는 달 숭배 사상도 함께 들어있다.

송편은 솔잎으로 켜를 하고 찌기 때문에 송편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는데, 솔잎으로 켜를 하면 솔 향도 좋으려니와 송편이 서로 붙지 않아 예쁘게 만든 모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어 좋다. 또한 솔잎에는 항균 성분이 있어 오래도록 상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추석 속담

추석날에 비가 오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특히 다음해의 보리농사가 흉작이 된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또 추석날 밤에 보름달이 보이지 않으면 개구리가 알을 배지 못하게 되고 토끼도 새끼를 낳지 못하며 산골에 심어놓은 메밀도 결실을 제대로 못한다고 한다.

/윤희정기자

    윤희정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