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 지곡단지 지구단위계획 `난개발` 딜레마

박동혁기자
등록일 2017-01-16 02:01 게재일 2017-01-16 4면
스크랩버튼
“기존 분위기와 맞지 않는<BR> 건축 형태로 난개발 우려”<BR> 지난해부터 반대여론 격화 <BR>사업 제안 포항시·포스코<BR> 5차례나 설명회 열었지만<BR> 원활한 합의점 못찾아
▲ 포항시와 포스코가 지곡지구 도시관리계획(지구단위계획)을 제안하자 주민들이 난개발 문제로 이의를 제기하고 나서 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지곡단지 전경.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포스코 직원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조성된 포항 지곡주택단지가 난개발 문제로 혼란에 휩싸였다.

포항시와 포스코가 지곡지구 도시관리계획(지구단위계획)을 제안하자 주민들이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포항시 등은 현 시점에서 지구단위계획을 실시하지 않으면 2020년 이후 무차별적 개발러쉬가 시작될 수 있다고 취지를 설명하고 있으나 주민들은 아이러니하게도 지구단위계획에 의해 난개발이 발생할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본격화된 이 논란은 해를 넘어 2017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라 양측간 원활한 합의점을 찾을 지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지곡단지는 철강경기가 한창 좋았던 200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손꼽힐만한 `살기 좋은 동네`였다. 1~3차로 잘 정돈된 대단위 아파트단지 5천여세대 주변으로 공원과 경관녹지가 조성돼 있고 주민들의 건강을 위한 체육시설도 아파트 사이사이에 배치돼 여가활동을 보내기에 적합했다.

무엇보다도 포스코가 직원 자녀들의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노래방, 술집, 모텔 등 각종 유해시설의 단지 내 입주를 강력히 규제해 학부모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그런데 글로벌 철강위기가 닥치고 포스코의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사정이 확 바뀌었다.

포스코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자산매각에 나서게 됐고 지곡단지 내 롯데마트 건물, 편의점 인근 유휴부지, 지곡목욕탕 뒤 유휴부지, 성실아파트 철거지 등을 잇따라 매각하며 300억원이 넘는 유동자금을 확보했다. 포스코가 매각한 부지는 지역 건설업체에 의해 저층아파트, 주상복합시설 등이 들어서며 단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건축물이 들어서자 단지 내 기존 분위기와는 맞지 않는 건축형태에 주민들이 불만을 가지며 난개발에 대한 우려가 발생하기 시작한 것.

주민들 사이에서 이같은 분위기가 발생했음을 인지한 포항시와 포스코는 지난해 10월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같은해 11월 관련부서 및 관계기관 협의, 주민공람·공고를 실시하며 지구단위계획을 위한 준비작업에 돌입했다. 포항시 등의 의도와는 달리 주민들은 이러한 계획이 수립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고 지난달 9일부터 22일까지 5차례에 걸쳐 주민설명회를 열고 설득에 나섰으나 협의점을 찾지 못한 채 마무리되고 말았다. 시에 따르면 계획은 지곡단지 내 161만34㎡를 주거지역 97만6천140㎡(60.6%), 자연녹지지역 63만3천894㎡(39.4%)로 구분하고 공원과 녹지공간을 32만8763㎡로, 도로망을 29만3천787㎡로 늘려 공공기반시설을 확충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논란이 되고 있는 롯데마트 부지는 7층이하 근린생활시설로, 자치회 사무실 인근 부지와 주말농장 부지 등도 2~4층 단독 및 연립주택으로 건립을 규제해 난개발을 최소화했다.

이와 관련 반대입장을 지닌 주민들은 주택보급률이 높은 상황에서 이같은 계획을 수립하는 것만으로도 난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주민 김모(55)씨는 “포스코는 그동안 지곡단지 내 수많은 땅을 매각하면서 주민들에게 피해를 끼쳤다”며 “이번 지구단위계획도 도로, 기반시설 등 기존 주민들이 겪고 있는 불편을 해소하는 것보다는 주택건립을 위한 규제해소 차원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포스코는 지곡지구를 조성해 그동안 공원·도로 등 약 16만평을 포항시에 기부채납한 바 있으며 단지를 둘러싸고 있는 임야 13만평도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공원으로 용도를 규제해 개발을 미연에 방지코자 하고 있다”며 “향후 포스코가 소유하고 있는 부지의 많은 부분을 개발 대신 공원으로 보존할 예정이라 주민들이 우려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포항시 관계자도 “지구단위계획을 반대하고 있는 주민들은 계획이 수립되면 난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는데 이는 오해일 뿐이며 오히려 난개발을 막으려는 목적”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설득과 의견수렴을 통해 주민들의 의견이 최대한 반영된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