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성주 `사드` 투쟁위 - 군민 공개토론회

전병휴·김정수기자
등록일 2016-08-19 02:01 게재일 2016-08-19 2면
스크랩버튼
제3후보지 공론화… 군민 간 찬반 `격론`
▲ 투쟁위 한 간부가 찬반양론이 팽팽히 맞선 군민들의 질문 및 발언 내용을 수첩에 메모하고 있다. /이용선기자

18일 오후 2시부터 성주군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성주 사드배치 철회 투쟁위원회와 군민 간 토론회에서는 `제3 후보지`를 놓고 격론이 벌어졌다.

그동안 `사드 철회`란 반대론이 강했던 성주 현지 분위기상 수면아래에 머물렀던 제3후보지론이 공론화하면서 주민간 갈등이 표면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찬성 → 제3부지 수용

“후보지역 있으면 빨리 결정 군민들이 힘들지 않게 해야”

반대 → 원점 재검토

“타지역 언급, 분란만 조장 미군부대 한국오면 안돼”

토론 도중 반대의견에 고성

`불순세력 있을라` 극도 경계

향우회 `후보지선정` 주장에

일부 주민들과 몸싸움도

○… 참석 군민 400여명은 1명씩 마이크를 잡고 2~3분간씩 자기 의견을 내놓았다.

발언권을 얻은 군민은 사드배치 철회와 원점 재검토를 주장하는 쪽과 제3후보지를 검토하자는 쪽으로 갈렸다.

선남면 박경복씨는 “경북 농민회가 사드 배치문제에 개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투쟁위를 해체하고 제3부지 위원회를 구성, 제3부지로 옮겨달라고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성주읍 이장희씨는 “대다수 읍민들의 의견을 전달하겠다”며 마이크를 잡고는 “제3, 4, 5지역이 있으면 빨리 결정하고 읍민들이 힘들지 않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성주읍 배정화씨는 “5년 전 성주로 이사 와 살고 있다. 성주 군민들이 모두 힘을 합쳐 사드배치를 못하게 해야 하고 성주를 지키는 게 대한민국을 지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천면 배윤호씨는 “국방부가 염속산, 칠봉산, 까치산 등 운운하는 것은 군민들을 분란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사드는 미국이 필요하고 미군부대가 들어오는 것이다. 대한민국에 사드가 들어오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성주읍 박노숙씨는 “극도로 분열된 성주군을 위해 이 문제에 대한 군민투표를 하자”고 제안했다.

토론회 중에 발언 내용이 자기 의견에 맞지 않는다며 목소리를 높여 반발하는 경우도 속출해 사회자가 연신 “조용히 하세요”라고 제지하기도 했다.

투쟁위 위원들은 찬반양론이 팽팽히 맞선 군민들의 질문 및 발언 내용을 수첩에 깨알같이 메모하는 등 진중한 태도를 보였다.

간담회 종반, 투쟁위 김안수 공동위원장은 “방법을 모아보자”며 “다양한 목소리를 들었고 앞으로 투쟁방향은 여러 안들을 모아 논의하겠다. 그리고 결론이 나는대로 따라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간담회 시작 전부터 대강당을 꽉 메운 군민 400여명 중 일부는 “불순세력이 있는지 서로 옆을 살펴보자”라며 극도의 경계심을 표시하면서 잠시 소란이 일기도 했다.

그러던 중 대구에 사는 정모씨가 맨 앞줄에 앉아 있는 것을 확인한 투쟁위원들과 군민들은 “밖으로 나가 달라”고 요구했고, 이에 정씨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라도 참여할 수 있다”고 맞서 양측간의 마찰이 빚어졌다.

결국 투쟁위에서 경찰에 신고했고 정씨는 강제로 회의장 밖으로 끌려나갔다.

○…재경성주군향우회원 80여명은 간담회 시작 전 성주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방부는 즉각 제3후보지를 선정해 발표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정부는 성주군민이 제3 후보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지역발전계획을 동시에 수립해야 한다. 김항곤 성주군수 또한 말이 없는 다수 군민 여론을 청취·수용해 소신 행정을 구현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기자회견을 지켜보던 성주주민 일부가 제3후보지 선정 주장에 강하게 반발해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한 주민은 “지금까지 우리 입으로 제3후보지 이야기를 한 적이 없다. 제3후보지에도 사람이 살고 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향우회원들은 20여분 가량 기자회견을 한 뒤 버스를 타고 군청을 떠났다.

○…국방부 문상균 대변인은 이날 오전 “성주지역 내라면 군사적 효용성에는 큰 차이가 없다”고 밝혀 간담회에서의 제3후보지론에 힘을 실어주려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을 받았다.

즉, 군이 기존에 발표한 사드배치 부지인 성산포대로만 고집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돼 국방부가 제3후보지를 염두에 두고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이창형기자

성주/ 전병휴·김정수기자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