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자에게는 한 없이 비굴하고 약자에게는 한 없이 잔인한 것이 일본근성이다.

일본정부는 2009년과 2010년 두 차례에 걸쳐 미국인 포로 강제징용과 학대에 대해 사과했고, 이번에는 일본 대기업이 미국까지 찾아가 사죄했다. 그러나 한국·중국·필리핀 등 동남아 국가에 대해서는 일언반구가 없다. 2차대전 당시 미군 포로 1만2천여명이 일본 광산과 공장 등 50곳에서 혹독한 강제노동을 당했고, 이 중 10%가 굶주림과 병으로 죽었다.

일본 대기업 미쓰비시 머티리얼의 전신인 미쓰비시 광업은 태평양전쟁 당시 미군 포로 900여 명의 강제노역을 을 사죄했다. 당시의 미군 중 2명만 생존해 있는데, 그 중 제임스 머피(94)만 다른 유가족들과 함께 사과의 자리에 참석했다. 머피씨는 “하나와 구리광산에서 미군포로 500명과 1년간 강제노동을 당했다. 모든 면에서 노예였다. 음식, 약, 옷, 위생시설은 없었다. 공포 그 자체였다”고 했다.

일본은 1945년 미국의 원자폭탄 2개를 맞고 `무조건 항복` 이후 납짝 엎드려 눈치만 보는`복지안동(伏之眼動)`으로 살아왔다. 그 생존법 덕분에 오늘날 부를 이루었지만, 동남아 약소국들은 여전히 무시한다. 일본은 우리나라 학생들을 강제징집해 전쟁에 몰아넣은 범죄도 사과하지 않는다.

일본은 1959년부터 1984년까지 재일 한국인교포 9만3천여명을 북한에 보내는 `북송사업`을 했다. 갖은 감언이설로 “북한은 지상천국”이라 선전했고, 이를 믿은 교포들은 북한으로 갔다. 그러나 그들은 북에서 노예생활을 했다. “자본주의 국가에서 온 저질 인간”은 일체 공직에 나아갈 수 없었고, 밑바닥 막노동으로 고생하다가 탈북하기도 했다. 북의 노동력 부족과 일본정부의 `조센진 털어내기`라는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북송이었다. 당연히 일본정부가 사죄해야 할 죄악이지만, 지금까지 남의 일처럼 넘어간다.

재일교포 탈북자 12명은 최근 `일본변호사 연합회`에 인권구제 신청을 했다.

“북·일 정부는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북에 남아 있는 북송자 본인과 가족들의 일본 방문을 허용하라”는 요구를 했다. 지난해 2월 유엔 북한인권특별조사위원회가 “북송사업은 인도적 범죄”로 규정한 데 힘을 얻은 것이다.

북송됐다가 탈북한 가와사키 에이코(73)씨는 “굶어죽은 시체가 여기저기 나딩구는데, 김일성 묘지(금수산태양궁전)를 짓는데 돈을 쏟아붓는 것을 보고 더 이상 살 곳이 못되는 곳임을 알았다”며 탈북의 동기를 말했다.

일본의 이런 죄악과 과오에 대해 우리가 사과를 받아낼 방법은 `힘을 기르는 길`뿐이다. 강자에 한 없이 약한 일본근성이니, 우리가 강자가 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우리 국회가 엉뚱한 일에 시간과 국력을 낭비하는 것이 너무 걱정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