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79% 1위, 포항 0.5% 최하위<br>경북도내 평균 38%…성과위주 근무체제 정착 안된 탓
정부가 국가 경쟁력차원에서 도입한 공무원 유연 근무제가 일선 시·군 간 참여율 편차가 너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란 지난 2010년 7월 정부가 국가 경쟁력 제고로 파트타임, 요일제 근무, 집중근무시간제, 시차 출퇴근제 등을 활용해 획일화된 공무원의 근무형태를 개선해 개인별 업무와 기관별 특성에 맞게 다양화함으로써 공직생산성 향상 및 공무원의 사기를 북돋아주고자 도입했다.
일선 자치단체에서는 공공기관의 근무 특성상 일반직원들보다 주로 임산부나 육아휴직을 해야할 공무원 등을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시행된지 3년이 지난 현재 경북도내 23개 시·군의 시행실적은 경북도내 총 공무원 2만1천505명 중 8천105명만 참여해 시행률이 37.6%에 그치고 있다.
이는 일부 자치단체의 경우 해당 자치단체장이나 간부 공무원들의 인식 부족과 의지부족으로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해 경북 시·군별 유연근무제 시행여부를 조사한 결과 경산시가 총원 1천61명 중 833(78.5%) 명이 유연 근무제를 실시해 1위를 차지한 반면 포항시는 총원 1천983명 중 겨우 9명(0.45%)만 유연 근무제에 참여해 경북도내 23개 시·군 중 꼴찌를 차지했다.
또한, 13개 군지역 중 1위는 예천군으로 총원 618명중 469명(75.8%)이 유연 근무제를 시행해 1위, 울릉군은 총원 361명 중 18명(4.9%)만 시행해 최하위를 차지했다.
경북 도청은 총 2천19명의 공무원 중 1천451명이 이 제도에 참여해 72%의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경북도내 23개 시·군별로는 시지역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시군별 유연 근무제실적을 살펴보면 경산(78.5%). 안동(74%). 김천(59%).구미(45%), 상주(40%), 영천(33%), 경주(30%),영주(28%), 문경(5.8%), 포항(0.45%)순으로 나타났다. 군지역은 예천(76%) 의성(48%), 울진(40.9%), 성주(33%), 청도(31%), 칠곡(23%), 군위(16%), 영양(16%), 청송(11%), 봉화(12%), 고령(9.5%), 영덕(7.8%), 울릉(4.9%)순이며, 경북도내 전체적으로는 2만1천505명의 공무원중 37.6%인 8천105명만 유연근무제 시행을 경험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일선 시·군에서 유연 근무제가 자리를 잡지 못하는 이유는 시행 초기 강제성을 띤 것과 달리 2012년부터 자율제로 전환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즉 임산부, 육아 등 주로 일과 가사 등을 병행 수행하는 여성 공무원들은 한 시간 일찍 출근해 한 시간 일찍 퇴근하는 바람직한 제도지만 일선 동사무소 등에는 민원인들이 이들이 퇴근한 후 볼일을 보러올 경우 부족한 일손을 메우느라 애를 먹는 부작용도 있다는 것.
이에 따라 유연근무제 정착을 위해선 단순 업무시간만을 업무량으로 평가하는 관리체계에서 `성과` 중심의 근무체제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유연 근무제는 일선 시·군의 경우 자치단체장이나 간부급 공무원들의 실천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참여율이 저조한 일선 시·군은 홍보와 독려로 참여율을 높여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구미/남보수기자
nbs@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