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주 화천 'KTX 신경주 역사' 공사장 붕괴사고

최승희기자
등록일 2007-12-24 16:14 게재일 2007-12-24
스크랩버튼

안전관리 소홀이 부른 人災

 지난 21일 경주시 건천읍 화천리 KTX 신경주 역사 인근 교각 공사장에서 발생한 작업용 발판 붕괴사고는 안전관리 소홀 등에 따른 ‘인재’라는 지적이다.

특히 이번 사고 원인이 발판이 한 순간에 무너진 점 등을 미뤄 비계가 하중을 이기지 못했거나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드러나 ‘대형건설사’의 ‘안전불감증’을 또다시 드러냈다.

이날 사고는 오전 9시43분께 KTX 경주--울산 간 12-1공구내에서 정모(49·경주시 성건동)씨 등이 강교 공사를 하던 중 공사 현장 근로자들의 통로로 이용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한 비계의 파이프 발판(높이 15m, 길이 50m)이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정씨 등 발판 위에서 교각의 철근 및 드릴작업을 하던 현장 근로자 7명이 15m 아래로 추락해 중경상을 입고 경주 동국대병원 등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이 가운데 김모(41·대구시)씨는 허리 등을 크게 다쳐 중환자실에서 치료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발판이 눈 깜짝할 사이 순식간에 무너졌다는 목격자의 진술과 비계 난간에 줄이 풀린 자국 등을 미뤄 비계가 하중을 이기지 못했거나 제대로 고정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서 “현장 소장 등 안전관리 책임자를 상대로 정확히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현장 곳곳에서 안전관리 미흡 점이 발견돼 추가 사고 발생마저 우려되는 등 국책사업현장에서 안전관리상 허점이 절실히 드러나 “관계기관의 점검이 부실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더욱이 이 현장 곳곳에 설치된 안전망의 경우 대부분 ‘철제’가 아닌 ‘그물’ 형태이여서 낙하물 발생시 망이 훼손될 경우 통행 차량은 물론 작업자들의 대형사고 이어질 수 있다는 비난마저 있다.

이에 대해 공사 현장 감리를 맡고 있는 D사 관계자는 “이번 사고 및 공사 안전장치 설치는 시공사를 상대로 잘잘못을 따져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60%가량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는 이 구간 KTX 교량공사 현장은 신경주 역사로부터 500여m 떨어져 있으며 국내 굴지의 ‘풍림건설(주)’이 공사를 맡고 있다. /최승희기자 shchoi@kbmaeil.com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