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혁대구경북녹색연합 대표
이재혁 대구경북녹색연합 대표

새 정부 출범이 며칠 앞으로 다가왔다.

최근 인수위에서는 새 정부의 ESG혁신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총 60조원의 재원을 투입해서 에너지, 탄소중립 분야의 신산업을 육성하고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여 일자리를 92만개 만든다는 계획이다. ESG경영은 무엇이기에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보이는 것일까?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022년 2월 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 ESG 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86개 중 81.4%가 2021년 대비 2022년 사업비와 인력을 늘리겠다고 답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ESG경영의 정확한 정의를 바탕으로 기업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대선을 통해 유명해진 RE100의 현황을 확인하면 우리의 부족한 점이 보인다.

RE100은 재생에너지 전기(Renewable Electricity) 100% 의 약자로 기업 활동에 필요한 전력의 100%를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된 전기로 사용하겠다는 자발적인 글로벌 캠페인이며 ESG경영의 일환이다. 구글, 애플, BMW, 이케아 등 350여개 기업이 가입했고, 국내에서는 SK그룹, LG에너지솔루션, 미래에셋증권, 아모레퍼시픽, 한국수자원공사 등 14곳이 가입했다.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상황에서 국내기업의 가입이 쉽지만은 않다.

새 정부가 이런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ESG경영이란 환경보호(Environment)·사회공헌(Social)·윤리경영(Governance)의 약자이며, 기업이 환경보호에 앞장서며,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 등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법과 윤리를 철저히 준수하는 경영 활동을 말한다.

기존 경영방식은 투자자와 기업 간의 관계유지를 중시하고, ESG경영에서는 소비자와 노동자, 관련업체, 지역사회, 환경 등 다중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중점을 두는 것이다. 기업은 비용지출의 부담이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다.

과거에도 ESG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나, 코로나19 이후 환경이 인류미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고 사회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ESG경영에 대한 필요성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평가하는 지표는 제각각이라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ESG 등급을 평가하는 평가기관은 무려 125개 이상이며, 글로벌ESG 표준, 프레임워크, 데이터 공급업체까지 합치면 ESG 관련기관은 600개가 넘는다.

국내의 경우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자체 개발한 ESG 평가지표와 평가결과가 2011년부터 매년 공개되고 있고, 국민연금, KB, 신한, 한화, 미래에셋 등 주요 투자기관과 회사들도 각자 ESG 평가지표를 사용하고 있다.

평가절차는 거의 유사하지만, ESG 평가 지표가 상이하다보니 평가기관별 ESG 점수도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기업에서 제공하는 정보량에 따라 평가점수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기업들은 ESG평가 지수를 높게 받아야 할 상황이지만 평가 기관마다 기준이 다르고 평가 기관이 관련 기준이나 내용으로 장사를 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러한 혼란을 줄이기 위해 총 61개 항목으로 구성된 ‘K-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K-ESG 가이드라인은 관계부처 합동으로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DJSI), 모건스탠리캐피탈 인터내셔널(MSCI), 세계경제포럼(WEF) 등 국내외 주요 13개 평가기관의 3천여 개 이상의 지표와 측정항목을 분석해 작성한 것이다.

지금까지 ESG경영에 대한 관심은 높았지만 각기 다른 평가 방식으로 신뢰성 문제가 제기됐다. 이제 K-ESG 가이드라인을 통해 일관성 있는 평가를 기대해본다.

지속가능한 성장으로의 패러다임을 위해 공공기관의 ESG 공시항목도 대폭 확대시키고 있다. 이는 지방공기업 평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고, 지역사회에서도 필요성을 실감하고 있다.

지난해 대구상공회의소가 대구지역 기업 375개사를 대상으로 ‘ESG 관련 대구기업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62%가 ESG경영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상당수 기업이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전문적 상담해줄 인프라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세계경제 동향도 급변하고 있고, 환경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새로운 소비세대인 MZ세대는 소비에 가치를 담고 있기에 ESG경영은 수익성과도 연관이 있다.

이제 똑똑한 소비자들은 가격, 선호도, 품질을 떠나 자신의 가치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제품을 구매하고 투자하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기회이다. 지속가능한 안전 사회를 만들어나가기 위해 ESG경영은 필요하며, 부패지수가 높고 환경인식이 낮은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평가받기 위한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ESG경영은 꼭 살려야 될 기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