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철도’

최영미 지음·이미출판사 펴냄
시집·1만원

‘서른 잔치는 끝났다’로 유명한 최영미(60) 시인이 신작 시집 ‘공항철도’(이미출판사) 를 펴냈다.

한국 문단의 성폭력을 고발하며 문학계 ‘미투(MeToo)운동’을 촉발한 지난 2019년 펴낸 시집 ‘다시 오지 않는 것들’이후 2년만이다.

그는 이번 일곱 번째 시집에 시사적이고 정치적인 메시지부터 첫사랑에 대한 이야기까지 코로나 시대의 삶을 자신만의 독창적인 언어와 선명한 이미지로 표현해 낸 시 50편을 수록했다.

“눈을 감았다/ 떠 보니/ 한강이/ 거꾸로 흐른다/ 뒤로 가는 열차에/ 내가 탔구나.”(‘공항철도’ 중)

이 시는 1부 ‘그래도 봄은 온다’에 실린 표제작이다. 조선의 학자이자 문인이었던 김시습의 어록을 인용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최선의 정치란 훌륭한 정치를 하고자 하는 바람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일을 벌이는 것이 아니다. 최선의 정치는 순리를 따르는 데서 이루어진다.” _김시습(金時習).

이 시를 쓰게 된 배경은 이렇다. “열차에 타서 눈을 감고 좋아하는 시나 마음에 드는 구절을 외우는 게 제 취미 중 하나인데, 김시습의 이 문구를 외우다가 보니 내가 역방향으로 가는 열차를 탔다는 걸 알았어요. 그래서 이게 시가 되겠다 해서 메모를 했죠. 우연히 얻어진 시에요.”

2부에는 두 번째 서른을 맞은 최영미가 자신에게 바치는 시를 포함해 세태를 풍자한 시들이 배치돼 있다.

“어떻게 내가, 저 눈부시게 아름다운 도토리묵/ 달콤쌉싸름한 당근케이크를 입에 넣고서/ 내 관심을/ 검찰개혁, 공수처 설치/ 혹은 검경수사권 조정에 집중할 수 있을까”(‘정치’ 중)

최영미는 지난 4일 온라인 기자 간담회에서 “이번 시집은 자유롭게 나온 것이다. 내가 의식적으로 뭘 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며 “의식적으로 쓴 것은 예이츠의 정치를 패러디해 쓴 시를 포함해 서너 편 정도이다. 나머지는 내 속에서 나오는 언어를 받아쓰는 식으로 썼다”고 말했다.

3부에는 코로나19 대유행 속에서 시인이 바라본 문학과 예술에 대한 사색이 들어있다.

“인류의 가장 큰 허영은 양심./아니, 예술인가”(‘아리송한’ 중), “제가 흘린 눈물을 마시며 연명하다/”잠에서 깨어났다네(‘늙은 앨리스’ 중)

마지막 4부에는 어머니를 간병하며 떠올린 삶과 죽음을 화장기 없는 언어들에 담았다.

“인생, 혼자 왔다 혼자 가는 거다”(‘면회금지’) “요양병원의 어머니에게 도시락을, 나의 죄의식을 전달하고” (‘나의 전투’) 난장판이 된 부엌, 아무데나 널브러진 포크를 집어 식탁 밑에 떨어진 음식 찌꺼기를 찍어 올리는 일상이 잔잔하게 펼쳐진다.

최영미 시인은 ‘공항철도’‘시인의 말’에서 “시 속에서는 모든 게 허용되어 앞뒤가 맞지 않은 말들도 숨을 쉬고, 주소와 번지가 다른 감정들이 서로 어울리고, 나도 모르는 먼지들이 스며들어 노래가 되었다”며 “시를 버릴까, 버려야지. 버리고 싶은 순간들도 있었지만 어이하여 지금까지 붙잡고 있는지”라고 적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