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영남 출신 총리 지명 ‘화합형’
민심 수습·당정청 가교 역할로
임기말 안정적 국정 운영 기대
5개 부처 장관 교체 ‘중폭 개각’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가 휴일인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연수원에 마련된 사무실로 ‘청문회 준비단’과 인사하고 인사청문 현안을 검토하기 위해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현 정부의 마지막 총리로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내정하는 등 중폭개각을 단행해 국정동력 확보에 나섰다.

문 대통령은 지난 16일 후임 국무총리에 김부겸 전 행전안전부 장관을 지명해 4·7 재보선 참패로 어수선한 여권의 분위기를 일신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됐다. 문 대통령의 지지도가 크게 떨어진 상황에서 보궐선거에 당한 뼈아픈 패배는 당·정·청 균열, 나아가 레임덕 우려로 이어지고 있어서 당장 집안 단속이 시급한 형국이었기 때문이다. 4선 국회의원 출신인 민주당 중진 김 후보자를 앞세워‘당·정·청 가교역할’을 통해 임기 말 안정적 국정운영을 꾀한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호남 출신 이낙연, 정세균 전 총리에 이어 첫 영남 출신 총리를 내정한 것은 지역화합을 내세운 `화합형 총리`로 평가된다. 이는 내년 대선 정권 재창출을 위한 포석으로도 해석된다.

사실 역대 정권에서 마지막 총리로 정치인을 발탁한 사례는 그리 흔치않다. 1987년 민주화 이후 노태우 정부(현승종)를 시작으로 김영삼 정부(고건), 김대중 정부(김석수), 노무현 정부(한덕수), 이명박 정부(김황식), 박근혜 정부(황교안)에 이르기까지 마지막 총리는 여의도 정치판 출신이 아닌 관료·학자출신의 비정치인이었다. 문 대통령도 처음에는 ‘정치인 카드’가 임기 말 안정적 국정운영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해 부담스러워했고, 경제 전문가 또는 여성을 총리로 검토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재보선 이후 상황이 급변했다. 재보선 참패의 후폭풍을 잠재우기 위한 극약처방으로 정치인 총리로 마음을 굳혔다는 분석이다. 특히, 김 후보자가 ‘친문’으로 분류되지 않아 ‘친문’ 일색인 당심과 민심의 거리감을 좁혀야 한다는 국민적 기대에 문 대통령이 응답한 셈이다. 어떻든 대구·경북(TK)을 정치적 기반으로 한 김 후보자가 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데 대해 냉랭한 TK 민심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김 후보자가 민심 수습에 큰 역할을 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대선후보 경쟁이 시작되면 총리보다는 대선후보에 모든 관심이 쏠리는 정치판의 속성을 생각하면 김 후보자가 총리로서 민심을 수습할 시간적 여유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해양수산부 등 5개 부처 장관을 교체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 임혜숙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 문승옥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 고용노동부장관에 안경덕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상임위원, 국토교통부장관에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해양수산부장관에 박준영 현 해수부 차관을 각각 후보로 내정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청와대 정무수석에 친문과 거리가 있는 이철희 전 의원을, 사회수석에 이태한 국민보험공단 상임감사를 지명했다. 산자부 장관 기용으로 공석이 된 국무조정실 2차장엔 윤창렬 현 사회수석을, 청와대 대변인에는 박경미 교육비서관, 법무비서관에는 서상범 법무비서관실 선임행정관, 신설된 방역기획관에 기모란 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대책위원회 위원장이 발탁됐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