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길수<br>수필가
강길수
수필가

누가 모자이크를 만들고 있다. 살아있는 모자이크다. 한데, 만드는 이가 안 보인다. 나풀나풀 하늘에서 흰 나비 날개들이 내려올 뿐이다. 아마도 보이지 않는 손이 작업을 하나 보다. 삼월 말, 수난(受難)주간 마지막 날 성당 가는 보도(步道) 위다.

다른 나무들은 벌써 신록을 연출하기 시작한다. 벽돌 담장 위에 얼굴을 빼꼼히 내민 장미 아가씨의 새순은, 어느새 길이가 한 뼘은 되어 보인다. 잎 사이에 꽃망울도 품었다. 꽃샘추위가 다 가시지는 않았지만, 바야흐로 봄이다. 기후 변화로 많이 앞당겨진 봄…. 봄은 내게 언제나 불쑥 나타났었다. 올해도 그랬다. 무심히 걷던 보도 위에서, 갑자기 ‘살아있는 모자이크’로 다가온 것이다.

새봄맞이 자연 모자이크대회가 열린 걸까. 보도에도, 잔디밭에도, 차 위에도, 아스팔트 노면에도 모자이크가 생겨나고 있으니 말이다. 재료는 엷은 분홍빛 살짝 머금은 흰 나비 날개뿐이다. 붙일 벽, 유리창, 천장, 그림판도 없이 어떤 거장(巨匠)이 바닥마다 모자이크를 만들고 있다. 탄성이 나온다. 보도블록에 갓 생긴 모자이크를 밟지 않으려 조심조심 걷는다. 모자이크는 무늬나 그림을 나타낼 텐데, 우둔한 나는 알아보지 못한다. 나스카의 지상 그림처럼 비행기라도 타고 높이 올라가야 볼 수 있을까.

문득, 하늘을 올려다본다. 한줄기 실바람이 만발한 벚꽃 가지를 간질인다. 웃음 참던 꽃잎이 못 참고, 꽃을 떠나 나비 날개가 되어 날아오른다. 팔랑팔랑 날던 날개가 살며시 내려온다. 묵주반지 낀 내 손등에 잠깐 내려앉았다가 바람에 다시 떠난다. 전할 말이라도 있을까. 그 순간 손등이 느낀 실낱처럼 서늘하고 아린 감촉이 그 봄, 어머님의 손 허물에서 느꼈던 촉감을 닮았다. ‘그랬어. 그해 봄 이 무렵, 어머니는 아프신 몸으로 우리 집에 오시어 몇 주 머무셨지. 나는 이틀에 한 번씩 아내와 함께 어머니를 병원에 모시고 다녀오는 게 고작이었었을 뿐이었어.’

“야야, 너희 아버지 가실 때 손이 벗겨지더니, 나도 그렇구나….”

저절로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당신 갈 길을 미리 아신 듯, 고통 속에 담담하게 말씀하는 어머니 앞에서 할 말을 잊었었다. 우리 동기들을 낳아 기르느라 밥하고, 빨래하고, 길쌈하고, 밭매고, 땔나무까지 하신 어머니. 자식들과 가족을 먹여 살리느라 소나무 껍데기같이 투박해지셨던 손. 그 손이 허물을 벗으며 아기 손처럼 해말갛게 변하고 있었다. 나는 손바닥에 허물을 받아 가만히 감싸 쥘 뿐이었다. 떨리던 손바닥에 파고든, 말 못할 촉감이 아직도 손에 고스란히 남았다. 보이지 않는 모자이크로 손에 박힌 것일까. 어머니는 초파일 다음날, 아주 우리 곁을 떠나셨다.

저 바닥 위에, 살아있는 벚꽃잎을 재료로 누가 모자이크를 만들고 있을까. 보나 마나 푸른 별 지구 곧, 땅과 바람이리라. 실바람이 벚꽃을 간질이면 벚나무는 꽃잎을 내준다. 꽃잎이 나비처럼 난다. 땅은 꽃잎을 끌어안으며 무늬와 그림을 만든다. 땅과 바람의 의기투합이, 곧 명 다할 꽃잎에다 새 생명을 부여한다. 살아있는 모자이크가 탄생하는 것이다. 꽃잎이 말라 사라져도, 지구 중력이 만든 모자이크는 땅에 아로새겨져 있으리라. 마치 내 손에 남은 어머니의 손 허물 감촉이, 따사하고 아린 모자이크가 되어 머물고 있듯이.

모자이크는 재료들이 간격을 두고 각각 머물게 만든다. 따로 있으면서도 함께 있는 존재가 모자이크다. 재료 각각은 뜻을 가질 수도, 안 가질 수도 있지만, 전체는 만든 이의 뜻을 드러낸다. 사람 삶도 모자이크다. 따로 태어났어도, 공동체와 함께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각자는 자기 삶을 살면서 공동체 생활도 한다. 생각해보면 원자에서부터 태양계, 우주에 이르기까지 개체이면서 동시에 공동체다. 그러기에 나와 너, 우리, 나라, 지구촌, 우주도 하나의 모자이크다.

화무십일홍이라 했던가. 족히 오리(五里)는 될 성당 가는 보도와 그 주위엔, 기회를 놓칠세라 끊임없이 모자이크가 만들어지고 있다. 비록 ‘코로나 19’의 거리 두기, 마스크 쓰기의 힘 드는 상황이지만 그 또한 모자이크이니, 모두가 잘 이겨내어 승리의 모자이크를 만들어야 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