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을 기반으로 하는 토종기업들이 하나둘씩 사라지고 있다. 글로벌 경제시대에 토종기업만을 고집할 수는 없지만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토종기업의 퇴출이 취약한 지역 경제를 반영한 결과라는 측면에서 안타깝다.

특히 대구시 중구 동성로에 소재한 대구백화점 본점의 영업 중단 소식은 충격적이다. 1944년 출발해 70여년 시민과 함께 애환을 같이해온 향토 유통업체의 위기를 목격하는 것 같아 마음이 편치 않다. 대구백화점 본점은 건립 당시 대구 최초의 10층짜리 고층건물로 지역사회의 많은 화제를 뿌렸으며, 줄곧 대구 동성로 상권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또 대구 중심 상권의 상징이기도 했다.

대구는 전국 지방도시 가운데 유일하게 백화점 산업이 잘 발달 된 곳이다. 대구백화점과 동아백화점이 양대 산맥을 이뤄 서울업체의 지역시장 공략에도 향토기업으로서 유통산업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

그러나 2010년 롯데 등 서울업체의 집요한 지역시장 공략으로 동아백화점이 이랜드로 넘어가고 이어서 신세계 백화점의 대구 진출로 지역 유통시장이 크게 흔들렸다.

대백 본점의 영업 중단은 대구 상권이 분산되고 코로나19 장기화 등에 따른 요인도 있으나 신세계, 현대 등 대기업의 대구시장 진출이 가장 큰 요인이다. 특히 신세계의 대구진출은 유통시장의 파이를 키운 측면은 있으나 지역에 본사를 둔 지역유통업에는 위기로 다가왔다.

대구백화점측은 본점의 폐점으로 적자를 줄이고 프라자점으로 역량을 집중해 새로운 전기로 삼겠다고 하니 향후 변신에 기대를 걸어보는 것도 좋겠다.

대구에는 1980년 지역을 기반으로 한 청구, 보성 등 굵직한 주택건설회사들이 전국적 명성을 날리기도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이 경영난을 겪고 기업의 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그래도 아직은 크고 작은 많은 향토기업이 지역민 속에 남아 선전을 하고 있다.

향토에 뿌리를 둔 토종기업은 지역경제의 뿌리산업이다. 대기업과는 달리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고 지역의 오랜 특성을 대변한 산업이다. 글로벌 경쟁시대일수록 향토기업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더 절실한 이유다. 대구백화점의 분발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