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지구 초고층 랜드마크 코앞
그대로 방치하면 전국적인 망신
최근 업소 더 늘어나 70곳 육박
인근 도시재생 뉴딜사업도 차질
자연도태 기대보다 시가 나서야

최근 구 포항역사 주변지역 개발이 가시권에 들어서면서 오랜 시간 난제(難題)로 남았던 집창촌의 철거 및 폐쇄 문제가 다시 지역의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개발지역 바로 앞에 자리잡고 있는 성매매집결지의 존재 유무가 결국 구포항역사 개발은 물론, 구도심 일대에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성공 여부까지 쥐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수년간 방관해 온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이 지금부터라도 현안에 적극적으로 뛰어 들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최근 포항의 아파트 거래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포항시가 구도심 활성화 차원에서 옛 포항역 부지(북구 중앙동)에 추진 중인 대규모 주상복합단지 조성 사업엔 청신호가 켜졌으나 인근한 집창촌 문제가 최대 걸림돌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집창촌 업소는 지난 한해 7곳이나 늘어난 것으로 알려져 강력한 행정집행으로 철거에 나선 다른 지자체와 비교되고 있다. 23일 북부경찰서 등에 따르면 지난해 구 포항역 인근 집창촌에서 영업중인 업소는 모두 67개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한해 전 60개보다 10% 이상 늘어난 것.

지역 부동산 업계는 부산과 대구 등지의 집창촌 폐쇄로 여성 종사자들과 업소대표들이 영업장을 포항으로 옮겨왔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인근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도 “성매매업소는 영업장을 폐쇄하면 다른 곳으로 옮겨가는 풍선효과로 이어지는 경향이 뚜렷하다”면서 영업중인 곳들이 언젠가 철거될 것으로 보고 보상 등을 바라고 이전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집창촌의 존재가 지역에 미치는 부정적 면은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후진적 문화의 상징도시라는 지적 외에도 우선 ‘옛 포항역지구 도시개발사업’의 차질로 이어질 가능성이 우려된다. 실제 오는 4월 5일부터 접수하는 구 포항역 개발 공모에서 30여 개 업체가 참여 의사를 표현할 정도로 관심이 높은 국내 건설업계는 집창촌 때문에 참여 여부를 고심하고 있다.

해당 지구에 최소 50~70층의 대규모 주상복합건물이 들어서 포항의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전망되나 성매매업소가 존치될 경우 그런 희망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집창촌 문제 해결 대책을 꼽고 있다. 건설업체들은 집창촌까지 개발권역에 포함시키는 것을 가장 바라고 있다.

구 포항역사를 둘러싼 중앙동과 신흥동 일대에 1천억원이 넘는 대규모 투자를 하는 도시재생뉴딜사업 또한 집창촌이 최대 걸림돌이다. 청년주택을 비롯해 청년창업플랫폼 및 청소년 문화의 집 등이 이곳에 들어서 구도심에 다시금 활력이 돌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뉴타운’ 한가운데 있는 집창촌의 존재는 전국적인 망신 사례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포항시도 이 문제를 파악하고 있으나 철거나 폐쇄시에 불러올 저항으로 선뜻 나서지는 못하고 있다.

시는 이미 구 포항역사 개발에서 한 차례 실패한 경험이 있다.

지난 2015년 포항시는 이 사업의 밑그림을 그리면서 사업자가 인근에 있는 집창촌을 포함한 사유지까지 개발해주길 바랐으나, 당시 사업파트너였던 LH가 해결에 실패했고, 결국 수년간 표류하다 무산됐던 것.

따라서 포항시가 이에 대한 해결대안을 모색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한 구 포항역 일대 개발은 장담키 어려운 실정이다. 설령 개발한다하더라도 집창장촌이 있는 한 큰 효과를 거두기 난망하다는 것이 부동산 업계의 대체적 안팎 의견이다.

포항시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포항시는 이번 도시개발사업 추진과 함께 집창촌은 자연 도태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지나친 낙관론이다”며 “대구와 부산, 인천 등 전국의 집창촌의 철거는 자연쇠퇴보다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행정 개입으로 사라졌던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바름기자 bareum90@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