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영 ​​​​​​​대구가톨릭대 교수
박상영
​​​​​​​대구가톨릭대 교수

우리말 표현 중에 ‘주거니 받거니’라는 게 있다. 사전적 의미로는 서로가 물건이나 말을 계속 주고받는 모양을 이르는 말인데, 그 표현이 참 재미있다.

주거나 받거나 받거나 주거나 사실 그게 그것인데, 우리는 보통 ‘받거니 주거니’ 하지 않고 ‘주거니 받거니’하는 말을 쓰니 말이다.

하지만 사실 이 표현 속에는 인간관계의 비밀을 푸는 중요한 열쇠가 담겨 있다. 다름 아닌 베푸는 삶의 철학 말이다. 우리는 살면서 인간관계로부터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런데 그 스트레스의 대부분은 손해 본다는 생각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손해 보는 느낌’이란, 계산적인 관계에서 준 만큼 못 받았다고 느낄 때 생기는 불편한 감정이다.

줌-받음이 저울 재듯 일대일 대응이 되면 참 좋겠지만, 인간관계가 어디 그러랴. 그래서 많은 이들이 손해 안 보려고, ‘줌’보다는 ‘받음’을 먼저 생각하고, 설사 ‘줌’을 먼저 행한 후에는 악착같이 ‘받음’을 얻어내려고 애쓰는 게 아닐까. 그런데 ‘주거니 받거니’에서 정작 중요한 것은, 줌-받음의 일대일 대응 관계보다는, ‘줌’과 ‘받음’의 선후 문제이다.

사실 먼저 ‘주거니’ 하면 얼핏 손해일 법하지만, 오히려 마음은 풍요로워진다. 왜냐하면 퍼주는 과정에서 타인들의 기쁨, 행복, 감사함이 빈자리를 가득 채우기 때문이다. 반면 먼저 ‘받거니’ 하려 하면, 주변 사람이 거리를 두고 나아가 그들로부터 빈축을 사게 되어 결국 외로운 삶과 마주할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영국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은 “자선은 아무리 베풀어도 지나치지 않는다.”라고 했고 달라이 라마도 우리가 받는 따뜻함/애정보다 훨씬 중요한 것은 우리가 주는 따뜻함/애정”이라고 설파한 바 있는 것이다.

주는 게 오히려 얻는 것이라는 삶의 철학을 깊이 깨친 사람들은 늘 스스로도 행복할 뿐 아니라 타인의 존경도 함께 얻는 법이다. “재산을 갖고 죽는다는 건 인간으로서 부끄러운 일”이라며 비록 가난한 농부 아들로 태어나 가방끈도 짧았지만 평생 번 돈을 사회에 아낌없이 환원한 미국의 강철왕 앤드루 카네기, 무려 99칸의 집채와 800석의 쌀 보관이 가능했던 곳간을 지닌 만석꾼이었지만 흉년에 누구나 쌀을 가져가도록 아예 곳간 문을 열어 놓은 경주 최씨나 ‘타인능해(他人能解·누구나 열 수 있다)’라는 글씨를 새긴 큰 쌀독을 고택에 두고, 흉년 시 누구든 쌀을 가져가게 한 조선 후기 낙안군수 유이주, 전 재산을 털어 쌀 500석을 사서는 기근 시, 관덕정에 솥을 걸고 죽을 쒀서 제주도민 3분의 2를 먹여 살린 여성 김만덕 등등….

이처럼 먼저 베푸는 이들의 삶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그런데도 우리는 타인에게 먼저 받기를 원한다. 계속 받기만 원하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받으면 받은 만큼만 딱주는 사람도 있고, 받지 않으면 아예 먼저 주는 법이 없는 사람도 있다. 꼭 무언가를 가져야만 타인에게 먼저 손 내밀 수 있는 게 결코 아니다. 우리가 가진 작은 것에서부터 충분히 ‘주거니’ 하는 삶을 살 수가 있다. 비우면 비울수록 더 많은 것이 채워지고 삶이 보다 풍요로워진다는 고금의 진리, 바야흐로 다가오는 4월에는 다들 한번 이를 깊이 새겨보는 시간이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