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예심국악소리 대표 장임순
‘2021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 공모’ 선정
올해 ‘석곡 이야기’ 등 창작 작품 공연 준비
일반 시민 교육해 스승·제자 한 무대에 서는
상주단체 마지막 공연 뜻 깊은 시간 될 듯

장임순 예심국악소리 대표.
장임순 예심국악소리 대표는 포항토속민요 전승의 선구자로 불린다. 지난 2014년부터 매년 포항의 토속민요를 무대에 올려왔던 장 대표는 최근 포항문화재단이 지원하는 2021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돼 관심을 끌고 있다.

아무도 흥미를 두지 않던 지역의 토속민요에 푹 빠져 살아온 그는 올해도 지역문화 콘텐츠의 가능성을 입증받은 마당극 ‘석곡 하얀 찔레꽃’ 등을 재창작한 ‘석곡 이야기’ 등 4편의 창작 작품 공연을 준비 중이다.

장 대표를 6일 만나 근황과 함께 앞으로의 계획 등을 들어봤다.

- 2021년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 공모사업은 어떤 것인가?

△지역의 전문예술단체가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 사업을 통해 공연예술단체와 공연장 간의 상생 협력을 통해 지역 공연단체의 예술적 창작역량 강화의 기회를 제공해 주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상주단체와 공연장과의 협업으로 공연·교육 프로그램 등 문화예술 콘텐츠를 개발하고 상주 공연장의 가동률 제고와 활성화를 도모하게 된다. 상주단체가 되면서 더 좋은 것은 작품활동을 좀더 좋은 조건에서 할 수 있는 것이다. 대잠홀 연습실을 편히 사용할 수 있어서 단원들의 역량 강화에 큰 도움이 된다. 작품활동을 하면서 기획, 연출, 홍보, 연희를 다 제가 해야 해서 어려움이 많은데, 상주단체가 되면서 포항문화재단의 팀장님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 더 좋은 작품을 기대할 수 있다.

- 1년간 어떤 활동을 계획하고 있는가?

△우선 상주단체공연으로 4개의 공연이 기획되어 있고 매년 해온 석곡 선생의 이야기를 소재로 기획한 마당극을 준비하고 있다.

또 상주단체공연은 창작 초연작으로 광남서원에 있는 충비단량에 관한 이야기를 기획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여성인 단량과 현대를 살아가는 여성들의 모습을 비교해 보고 그 시대의 여성의 삶과 현대의 여성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마당극 정통기법으로 연출하여 무대에서 펼치기 때문에 관객과 함께하는 해학과 감동이 있고 다시금 우리의 삶을 돌아볼 수 있는 작품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레퍼토리 공연은 매년 정기공연으로 연출하는 전통춤 전승 공연이다. 올해는 제 스승이신 김지립 명무께서 연출을 해주시기 때문에 스승님의 연출과 춤을 한 번에 볼 수 있는 최고의 춤판이 되리라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교류 공연으로는 남호남의 예술로서 광주 지역의 상주단체와 교류를 협의 중에 있다. 상주단체 마지막 공연은 퍼블릭으로 일반 시민을 교육하여 스승과 제자가 한 무대에서 예술로 하나 되는 공연이다. 시민에게는 예술로 함께하는 시간이라 어찌 보면 상주단체 공연 중 가장 깊은 뜻이 있는 공연이 아닐까 한다.

- 올해 선보이는 ‘석곡 이야기’는 어떤 작품인가?

△석곡 이야기로 작품을 시작한 지 4년째가 된다, 4년 동안 7개의 작품을 연출했다. 사실 한 소재로 7개의 작품을 하긴 쉬운 일은 아닌데 석곡 선생은 포항만이 아니라 한의학과 유학의 큰 인물이기에 계속 이야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올해도 석곡 이야기는 현대물에 중심을 두고 연출을 생각하고 있다. 아직 대본 작업을 시작하진 않았는데 한의학이 품고 있는 의미와 석곡 선생의 사상을 그대로 표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사실 작년 작품은 마당극 사상 최초로 삼대가 함께 출연하는 기록적인 작품이었다. 노령화가 되어가면서 겪게 되는 문제점을 한의학의 관점에서 이야기하려고 한다.

- 토속민요 전승의 선구자로 불리는데 언제부터 토속민요를 불렀나?

△사실 선구자란 표현은 제게 아주 큰 부담이 되고 너무 과분한 표현인 것 같다. 포항에서 토속민요에 관심을 가진 것은 2013년부터지만 제가 제주에서 활동할 때부터 토속민요에 관한 관심은 계속 가지고 있었다. 통속민요의 기교와 화려함보다는 토속민요의 투박하고 들꽃 같은 느낌을 사랑한다. 아마도 크고 화려한 무대보다 작은 마당판의 놀이를 좋아하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닌가 한다. 처음 들어도 늘 듣고 있었던 것 같은 소리가 참 좋다. ‘자장 자장 웡이 자장 우리 아기 잘도 잔다 자장 자장 웡이 자장’ 이것이 우리가 토속민요를 처음 듣기 시작하는 시기가 아닌가 한다. 늘 어머니 음성으로 들었던 소리들이 토속민요 아니겠나. 아이들이 고무줄을 하거나 제기차기를 하면서, 숨바꼭질을 하면서 불렀던 소리들이 토속민요다. 그러니 모두가 토속민요를 처음 부른 것이 곧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 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앞으로 바람이 있다면.

△제가 가진 모든 것을 다 전해주고 싶다. 제 스승님 한국무용가 김미순 선생님이 그랬듯이…. 예심국악소리를 설립하면서 포항의 소리와 포항의 이야기, 포항의 역사를 예술의 이야기로 표현하리라 다짐했다. 전통춤의 전승과 포항의 이야기를 같이 담을 것이고, 포항 구석구석에 있는 많은 역사를 예술로 수면에 올리는 역할을 할 것이다. 우리춤의 전승과 포항의 이야기로 포항의 예술이 곧 경북의 예술이 될 수 있게, 경북의 예술이 곧 한국의 예술이 될 수 있게 즐기며 노력하겠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