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대수필가
윤영대
전 포항대 교수

춘삼월, 이제 완연한 봄이다. 경칩(驚蟄)도 지났다. 동면하던 동물들도 기지개를 켜고 활동을 시작하는 음력 정월-인월(寅月)은 만물이 생동하는 깨어남의 절후이다. 흔히 경칩에는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고 말을 한다. 어디 동면을 하는 동물이 개구리뿐일까. 뱀, 거북 등 양서류와 파충류도 땅속에서 잠자고 박쥐, 고슴도치는 가사상태로 겨울을 나고 곰들도 얕은수면 상태 속에서 겨울잠을 자며 새끼도 낳아기른다.

겨울 가뭄에 바짝 마른 개울을 찾았더니 산개구리 몇 마리가 벌써 뛰어다니고 새싹 돋는 풀숲을 헤쳐보면 까만 개구리가 툭 튀어나온다.

어저께 비가 내린 탓에 축축하게 물기를 머금은 낙엽들을 말리려고 들추어 보니 그 속에 파릇하게 봄을 준비하는 꽃창포의 여린 잎들이 깨어나고 있었고, 여름이면 연보라 꽃을 피우는 비비추도 연두색 새순을 올리고 있었다. 따뜻하게 봄기운 받으라고 모두 긁어내다가 문득 생각했다. ‘아! 어린싹들이 낙엽을 덮고 더 따뜻해질 때까지 기다리며 힘을 기르고 있었을 텐데, 내가 너무 성급하게 이불을 벗긴 것은 아닐까?’하고는 얼른 덮어두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자생종인 여러해살이풀이니 그 추위쯤이야 훌훌 이겨내겠지. 깨어나라. 봄이 왔다. 축축한 해묵은 낙엽 속에서 꾸물거릴 때가 아니지않느냐. 개구리도 긴 잠을 깨고 눈 녹은 물이 고여 있는 갯가에서 짝짓기하고 투명한 알들을 낳는데….

기계면 언저리에 있는 시골집을 나와 봄이 오는 소리를 들으려고 드라이브 스루 나들이를 나섰다. 기계천을 따라올라 한티 터널을 지나고 자호천을 끼고 달리며 창밖을 기웃거려보니 개천에는 겨울 가뭄에 물소리는 들리지 않지만 아련히 봄기운이 돌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죽장에서 상옥으로 가는 길의 초입, 입암리의 선바위도 가사천 개울을 보며 봄을 기다리는 듯하고 상옥 마을을 굽이돌아 진달래 꽃망울 보며 고갯마루에 서면 경북수목원도 봄을 맞고 있다. 청하에 들어서면서 기청산식물원에 들리니 빨간 동백과 노란 산수유의 웃음 속에 동강할미꽃이 고개를 살짝 들고 있다. 봄의 기운이다.

동물의 겨울잠은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것으로 기온의 변화로 주위에서 먹을 것을 구할 수 없고 추위를 견디지 못하는 동물들이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기간이다. 그 활력 징후를 보면 각성상태라고 한다. 동면에 들면 몸의 내부상태 즉, 심박동수와 호흡량을 조절하는 호르몬 등이 있기 때문이다.

요즘 우리나라 정세를 보면 계절 변화의 우려 속에도 국민은 아직 잠을 자고 있는 듯하다. 아니, 배고프고 추웠던 시절을 힘겹게 보낸 것을 모두 잊고 풍요와 자만에 빠져 멋모르고 마신 축배에 너무 빨리 취해버린 듯, 숙취의 잠이다. 그 활력 징후는 어떨까.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나듯 우리도 사회적 잠에서 깨어나야 할 시기이다. ‘항상 깨어있으라’는 성경 구절이 와닿는다.

경칩 전후, 고로쇠나무에서 얻는 수액은 술독을 푸는 데 좋다고 한다. 한 모금 시원히 마시고 숙취도 풀고 뼈도 굳건히 하여 더 따뜻한 이 봄의 훈기를 느껴보자. 우리 모두 새롭게 깨어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