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지난 2월 28일은 61번째 맞은 2·28 기념일이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 타오른 민주주의를 향한 봉화가 나라 전체로 번진다. 부패하고 타락한 권력자 이승만의 예정된 부정선거에 저항하는 청춘들의 피 끓는 함성이 달구벌에 울려 퍼진다. 조병옥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급사하는 바람에 이승만은 당선이 확정된 상태였다. 그러나 자유당의 부통령 후보 이기붕은 장면 민주당 후보에 밀리는 형국이었다. 특히 대구에서 그런 양상이 강했다고 한다.

올해처럼 1960년 2월 28일도 일요일이었다. 그날 장면 후보의 유세가 신천에서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자 대구의 8개 고등학교에서는 일요일 등교라는 희한한 고육책을 감행한다. 이런 불의하고 참람(僭濫)한 행태에 반대하여 경북고, 대구고, 대구여고, 경북여고, 경북사대부고, 대구농고, 대구공고, 대구상고 학생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온다. 이팔청춘 고등학생들이 주역이 되어 독재자 이승만에게 목숨을 걸고 투쟁한 것이 2·28이다.

2·28운동은 3월 8일 대전으로, 3월 15일 마산으로 이어지면서 전국적인 저항운동의 씨앗으로 작동한다. 마침내 2·28은 위대한 4·19혁명을 촉발하여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를 영원히 빛내게 한다. 2·28은 1945년 해방 이후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최초의 민주주의 운동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13년 동안 독재의 외길로 일관한 이승만을 권좌에서 축출한 기폭제가 대구의 청년학도들이었다는 사실에 새삼 가슴 뜨겁다.

당시 항쟁에 참여한 장주효 선생의 말씀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대구고 2년생이었던 장주효 선생은 경북고 학생대표 등과 거사를 모의하면서 두려움에 떨었다고 한다. 죽음까지 염두에 두어야 했던 상황을 말씀하시면서 “장가도 못 가고 죽는 게 가장 한스러울 것 같았다”고 회고한다. 만 18세 소년들의 반짝이는 눈동자가 눈앞에서 되살아나는 것 같다. 한편으로 담대하고, 다른 한편으로 천진스러웠던 그들!

2·28과 관련하여 인상적인 분은 ‘2·28 행진곡’을 작곡한 백남영 선생이다. 능인고 교사로 재직하던 그는 동료 김장수 선생이 작사한 가사에 곡을 붙인다. 평양 출신으로 만주에서 활동하던 그는 6·25 한국동란에 대구로 피란 와서 주저앉은 인물이었다고 한다. 그래선지 그는 김장수 선생과 함께 대구에서 ‘4·19의 노래’도 만들었지만, 기억해주는 이가 없는 실정이다.

언제부턴가 대구와 경북이 수구의 본산처럼 각인되고 있어서 안타깝기 그지없다. 1946년 10월의 대구 봉기가 제주의 4·3과 직결되어 우리나라의 아픈 현대사 첫 장을 대구가 연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다. 더욱이 1960년 4·19 대혁명의 진원지였던 대구는 오랜 세월 자유와 민주를 향한 열렬한 투쟁의 본산이었다. 그러다 박정희-전두환-노태우로 이어지는 30년 군부독재의 서슬로 풀 죽은 형국이 되어 30년이 지났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하고, 30년이면 한 세대가 종언을 고하는 법이다. 세상 모든 것은 변하고, 영원불변하는 것은 없다. 봄이 오는 길목에서 동토(凍土)의 대구에도 산수유와 홍매, 백매 환하게 피어나기를 고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