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가인<br>참마음심리상담센터 원장
문가인
참마음심리상담센터 원장

요즘 날씨는 추웠다가 따뜻했다를 반복하며 우리를 시험한다. 세상은 폭력과 고통과 관련된 뉴스들로 시끄럽다.

차들은 막혀있고 사람들은 욕설한다. 그 대기 위를 코로나 바이러스가 덮고 있다.

사람들은 회색빛 대기 위를 마스크를 쓰고 종종걸음친다. 집에서는 이웃들이 내는 소음에 귀를 틀어막는다.

감정은 갈 길을 잃고 우울해하다가 화를 내며 소리까지 치게 한다. 이것은 공포영화보다 더 두려운 우리의 현실이다.

요즘은 운동선수들의 학교폭력사건이 우리의 눈과 귀에 들어오고 있다.

단어 상으로 폭력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는 어떤 사람이 누군가를 때린다는 행동적인 모습이 연상되게 된다. 누군가 쓰러지고 코피가 나고, 팔과 다리가 부러지고 등등. 폭력 행위의 결과로 신체가 손상되면 병원치료를 받으면 일정 시간이 되면 어느 정도 정상적으로 회복되게 된다.

그렇지만 그 폭력의 과정에서 마음도 상처받는다는 사실을 간과하기 쉽다.

마음은 보이지 않아서 자신도 마음의 아픔을 잘 인지하지 못하며 시간이 흘러서 증상이 생겼을 때 비로소 마음이 병들었다는 것을 주변 사람들에게 말하게 된다. 자신도 모르는 마음의 고통을 타인들은 알 리가 더더욱 없다.

사람들은 ‘왜 이제 그 사실을 이야기하냐?’고 묻는다.

폭력 사건의 피해자가 오랜 시간이 흘러서 자신의 피해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은 자신도 인지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오랜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아서일 가능성이 크다.

나는 심리상담 장면에서 소위 ‘왕따’ 사건을 많이 접한다. 상담하다 보면 왕따 사건이 공식처럼 내재하여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왕따에는 폭력이 수반되기도 한다. 그들은 초등학교나 중학교 시절에 경험한 왕따나 폭력에 대해 성인이 되어서도 잊지 못한다고 한다. 밤에 악몽을 꾸기도 하고, 직장생활이나 대인관계가 어렵다고도 한다.

심리학자 등은 이러한 마음의 상처에 주목했다. 대중적인 용어로는 트라우마라고 하지만 진단기준에 부합하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될 수 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되려면 1)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의 외상사건, 2) 그 사건이 반복해서 생각나는 침투증상(기억, 꿈 등), 3) 재경험 및 회피 반응(외상사건과 관련된 단서를 회피하려고 함), 4) 생각과 감정의 부정적인 변화(자신, 타인, 세상의 우호성에 대한 가정이 박살 남), 5) 과민반응(예, 수면의 어려움, 놀람 등)을 보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그 사람은 다시는 사랑과 행복을 꿈꿀 수 없게 된다. 마음의 병도 생기게 되어 우울증, 불안증, 강박증, 불면, 중독 등의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우리 곁에 정신과적 진단명을 붙이고 살아가는 그들은 누군가가 행한 폭력의 희생자일 수도 있는 것이다.

코로나 시대, 폭력과 고통이 난무한다. 그래서 더더욱 우리에게는 사랑이 필요하다. 우정이 필요하다. 따뜻함이 필요하다.

‘서로 간 마음의 접촉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