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희<br>인문글쓰기 강사·작가<br>
유영희
인문글쓰기 강사·작가

누구나 억울한 일을 겪으면 ‘선이란 무엇일까, 정의란 무엇인가’를 의심하게 된다. 단테 역시 정쟁에 휘말려 1302년 피렌체에서 추방당한 후 1321년 열병에 걸려 객지에서 생을 마감하면서 그런 생각을 했을 것이다. 1307년부터 쓰기 시작한 ‘신곡’에는 선과 악, 정의와 불의에 대한 단테의 생각이 담겨있다. 지옥에 교황과 황제도 있는 것을 보면, 살아있을 때 명예가 천국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풍자로도 읽을 수 있다. 두 연인 파울로와 프란체스카는 지옥에 있는데, 쿠니차라는 여인은 천국에 있다는 이야기는 선한 삶에 대해 생각거리를 준다.

‘지옥편’ 5곡에 나오는 파올로와 프란체스카의 비극적 사랑은 많은 예술가들의 작품 주제가 될 만큼 유명하다. 이들은 사실 사기 결혼의 희생자였다. 두 집안은 성의 영주였는데 앙숙이다가 자식을 볼모로 협정을 맺으려 한다. 파올로의 아버지는 큰아들 조반니가 추남에 절름발이에다 폭력적이어서 늦은 나이까지 결혼하지 못하자 프란체스카에게 둘째아들 파올로를 보여주고 승낙을 받은 후 조반니와 결혼시킨다. 그러나 사랑에 빠진 두 연인은 조반니에게 살해당하고 지옥에 온다.

쿠니차 이야기는 ‘천국편’ 9곡에 나온다. 열 겹으로 된 하늘 중 쿠니차는 세 번째 하늘 금성천에 올라가 있다. 이 여인은 남편이 넷이고 애인도 둘 있을 만큼 애욕이 넘쳤는데 천국에 있다. 단테는 음욕을 죄로 보기 때문에 이런 설정은 당혹스럽다. 실제로 쿠니차가 천국에 있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들이 많다고 한다.

그러나 그 이유를 작품 안에서 짐작해볼 여지는 있다. 파올로와 프란체스카는 ‘갈레오토’라는 연애소설을 같이 읽다가 자신들도 모르게 육욕에 빠져들었고 지옥에 와서도 떨어질 줄을 모른다. 이들을 그린 여러 그림에서도 두 연인은 밀착되어 한 몸처럼 붙어 있다. 반면, 쿠니차는 자신의 음욕을 후회하고 선한 생활을 하다가 죽는다. 자신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자유의지로 선을 선택한 것이다. 단테에게 자유의지는 이성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고, 이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러나 이성에 따르는 선택은 언제나 선일까? 영화 ‘인페르노’에 나오는 조르비스트는 맬서스의 인구론에 근거하여 인구 증가가 지구 위기를 불러온다고 주장한다. 그는 인구를 3분의 1로 줄일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기면서 자신은 인류의 구원자라고 자부한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조르비스트는 ‘신곡’의 ‘지옥편’을 그림으로 그린 보티첼리의 ‘지옥도’를 이용한다.

이런 조르비스트의 행동은 파올로와 프란체스카처럼 자유의지를 발휘하지 못하고 그저 맹목적으로 서로에게 빠져든 것과는 다르다. 자기 나름대로 사실을 분석하고 이론에 입각하여 지구 구하기라는 선 실천 의지를 발휘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광기에 지나지 않는다. 자신이 이성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일수록 광기에 휩싸일 가능성이 많다. 안타깝게도 ‘지옥편’에 이런 죄는 없다.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 보니, 산 책 중에 읽는 거라는 어느 작가의 말처럼 그래도 책을 사놓은 보람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