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형 시인·산자연중학교 교감
이주형 시인·산자연중학교 교감

뭉쳐야 시리즈를 알게 된 것은 큰 행운이다. 예능 프로그램을 보면서 마음이 환해지기는 처음이었다.

‘뭉쳐야 찬다’와 ‘뭉쳐야 쏜다’이들 프로그램을 보면서, 코로나 시대에는 맞지 않지만, 역시 사람은 뭉쳐야지만 큰 벽을 허물 수 있다는 것을 확실히 알았다.

운동 종목에는 종목마다 넘사벽 같은 자존심이 있다. 있는 정도가 아니라 그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선수들은 평생을 바친다. 우리는 그런 선수를 전설이라고 부른다. 그들이 전설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사람들은 너무도 잘 알기에 그들에게 존경과 갈채를 보낸다.

운동의 다른 말은 목표와 노력, 그리고 도전과 인정이다.

목표를 정했으면, 선수들은 어떤 시련과 역경을 마주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오뚝이처럼 일어나 목표를 향해 끝없이 도전한다. 그 모습이 바로 스포츠 정신이다.

간혹 목표의 목전에서 안타깝게 좌절하기도 하지만, 진정한 스포츠 전설들은 절대 변명 따위는 하지 않는다. 변명 대신 그들은 그 상황을 인정한다. 그 인정함이 그들을 다시 일으켜 세워 결국 목표를 이루게 하는 백절불굴(百折不屈)의 힘이다.

인정(認定)! 어떻게 보면 가장 쉬우면서도 가장 기본적인 것 같지만, 실질적으로는 사람들에게 있어 가장 어렵고 부족한 것이 인정이다.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넘치면 넘치는 대로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된다. 그러면 모두가 행복한 더 큰 발전을 이룰 수 있다.

그 모습을 뭉쳐야 시리즈에서 전설들이 보여주었다. 전설들은 벽을 허물었다. 그들은 평생을 바쳐 자신과 동일시 한 자신의 운동 종목을 내려놓고, 다른 종목을 받아들였다. 비록 처음 접하는 종목이지만, 그들은 전설답게 상대 종목을 이해하기 위해 예의를 갖춰 최선을 다했다.

반면 사람들은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것을 채우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억지를 부리고 위선을 떤다. 그러면서 진짜 자신의 모습을 잃고 타인으로 산다. 타인의 삶이 결코 행복할 수는 없다. 참 자아를 잃어버린 사람들의 공통점은 극도의 불안감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그들은 결국 불안을 없애기 위해 자신과 공동체를 파괴하는 괴물이 된다.

우리 사회는 오래전에 괴물 공화국으로 변했다. 매일 같이 뉴스들은 정치계, 교육계, 스포츠계, 경제계 등 사회 전 분야에서 벌어지는 괴물 이야기를 생방송하고 있다. 괴물 이야기에 절어서인지 뉴스도 괴물이 됐다. 괴물 뉴스가 보여주는 괴물들의 잔인한 이야기는 공포 영화를 넘어섰다. 공포 영화를 보기 위해 영화관에 가지 않아도 되는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분명 우리에게도 한때 괴물을 막는 장치가 있었다. 그것은 교육이었다.

교육계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고, 건전하고 올바른 인성을 갖춘 국민을 육성하는 “인성교육진흥법”까지 있다.

하지만 교육은 이성을 잃었다. 어떻게 보면 가장 먼저 괴물이 된 곳이 교육계인지도 모른다. 교육, 특히 인성교육을 강조할수록 인간다운 삶과 멀어지는 것이 지금 교육이다.

교육과 인간의 재건을 위해 형식뿐인 인성교육을 학교에서 지우기를 긴급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