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특히 미국은 힘든 상황을 지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수가 오십만을 넘었다. 백신접종과 치료제개발이 희망을 준다지만, 일 년 넘게 경제, 사회, 문화의 틀을 바꿔 놓은 감염병의 여파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인류를 힘들게 할 터이다. 나라 간 경제적 질서와 힘의 균형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전으로 돌아가는 일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런 가운데에도 미항공우주국(NASA)가 우주탐사선 퍼시비어런스(Perseverance)호를 성공적으로 화성에 착륙시켰다. 미국인들은 코로나19의 역경을 잠시 잊고 열광하였으며 이를 새로운 개척의 역사로 바라보는 듯하다. 땅 위에서 겪는 난관의 틈바구니에서 신선한 희망을 찾으려는 미국인들의 노력이 아닌가.

화성. 태양계에서 지구 다음 네 번째 행성. 지름이 지구의 절반 정도 되는 작은 행성으로 희박한 대기는 거의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의 존재는 확인되었지만 생명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평균 대기온도가 영하 23도라 사계절은 있으되 사람이 살 수 있는 환경은 아니다. 그럼에도, 미국은 인간의 다음 체류지로 화성을 주목한다. 테슬라(Tesla)의 일란머스크(Elon Musk)는 우주개발을 위한 사기업 스페이스엑스(SpaceX)를 설립하여 수년 내에 인간을 화성에 보내고 인간의 생존이 가능한 환경으로 바꾸어 낼 것이라고 선언하였다. 화성에서 인간이 편안하게 살 수 있기까지 줄잡아 ‘천 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는 강연을 태연하게 들으며 미국인들은 기대를 한층 높이 건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개척정신. 도전정신. 탐험정신. 불굴의 의지. 오늘 그 어떤 어려움이 닥친다 해도 역경을 헤쳐가면서 동시에 미래를 향한 구상과 기획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다짐이 아닐까. 코로나19의 혼란 속에서도 탐사선이 보내오는 화성의 찬란한 밤하늘 사진과 화성의 바람소리 한 자락에 흥분하는 그들에게 개척정신이 보이지 않는가. ‘코스모스(Cosmos)’와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을 저술한 칼세이건(Carl Sagan)은 우주사진에서 작은 점 지구를 주목하면서 ‘정착할 수 있는 행성이 아직은 없다. 좋든 싫든 인류는 당분간 지구에서 버텨야 한다’고 적었지만, 미국인들은 그 ‘당분간’을 또다시 앞당기려 하는 게 아닌가. 그것도 코로나19의 와중에. 쿠바의 혁명가 체게바라(Che Guevara)는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고 하였다.

불가능한 무엇에 도전하지 않고는 의미있는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가능한 일만 반복해서는 뛰어난 도약을 거둘 수 없다. 지난 세월, 대한민국은 수많은 불가능을 뚫고 오늘에 도달하였다. 오늘에 만족하며 멈추는 일은 없어야 한다. 벌어지는 일에만 주목하면 새로운 내일을 기약하지 못한다. 현재 문제를 해결하면서, 미래(未來)를 준비해야만 나라다운 나라가 선다. 보이지 않는 승부처가 어디인지 끊임없이 모색하는 오늘이어야 한다. 오늘에 붙들리지 않고 내일을 바라보는 세대를 길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