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한국인은 언어유희에 능하다. 머리가 좋기도 하지만, 한국어에 동음이의어가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다수의 언어유희가 동음이의어에 기초한 말장난에서 출발하는 것이 그것을 증명한다. 예컨대 내 작은 아이 이름이 ‘우연’이다. 사람들이 “우연이 어떻게 지내요?” 하고 물으면 이렇게 대답한다. “우연(佑鍊)이요, 우연(偶然)히 잘 있어요!” 우연이가 두 번 겹치면서 듣는 사람의 웃음이 터져 나온다. 이런 본보기는 끝이 없다.

요즘에는 외국어까지 언어유희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세계화의 물결이 우리 언어생활까지 넘보고 있는 셈이다. 그 가운데 으뜸은 ‘라떼는’이 아닐까?! ‘카페라테’에서 추출된 용어일 텐데, 하루에도 몇 번씩 ‘라떼는 말이야’ 하는 말을 듣게 된다. 대개 그것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갑질의 하나로 쓰이고 있다. 나이 든 축이 예전 경험담을 일반화하면서 젊은 친구들을 훈계할 때 나오는 말이 ‘나 때는 말이야~’ 하는 어구다.

나는 ‘라떼는’에 유감이 많은 사람이다. 염량세태가 변했다 해도 인간의 삶은 근본적으로 대물림에 기초한다. 아버지 세대에서 아들 세대로, 아들 세대에서 다시 손자 세대로 무수한 대물림이 21세기 21년까지 이어져 온 것이다. 오죽하면 구약의 ‘전도서’ 1장에는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는 구절이 나오겠는가?! 발명이 아니라, 오직 발견밖에 없다는 확신은 창조주를 가리키지만, 나는 대물림으로 수용한다.

대물림의 정점에 자리하는 것이 교육이다. 교육은 새로움을 추구하지만, 출발점은 언제나 지금과 여기다. 지금과 여기는 과거의 시공간과 경험 그리고 인과율과 결합한다. 그래서다! 2천500년 전에 공자가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를 설파한 까닭은 이유가 있다.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면, 선생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교육자의 첫 번째 조건을 옛것을 익히는 것에 둔 공자. 따라서 새것은 옛것을 바탕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요즘 젊은이들은 나이 먹은 사람들의 경험이나 방법론을 잔소리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거야 옛날얘기고, 모든 것이 나날이 바뀌는데, 너무 낡고 고리타분한 것이라는 의식이 팽배해 있다. 그와 같은 생각의 바탕에는 옛것은 모두 케케묵은 것이고 시대착오적이기에 서둘러 내버려야 한다는 강박증이 자리한다. 하지만 조금 생각해보면 그런 생각은 터무니없이 어리석은 것이라는 자명한 사실이 드러난다. 20대 청년을 존립하게 하는 것은 ‘지나간’ 20년 남짓한 세월의 삶과 경험에 근거한 과거에 있다. 우리 모두의 지금과 여기는 하나의 예외도 없이 ‘지나간 것’에 터를 두고 있다. 과거의 유용한 누적을 기억과 경험 속에 축적한 사람을 우리는 현인이나 원로라고 부른다. 모든 늙은이가 현명하거나 원로가 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그들이 경험한 시공간과 인과율의 깊이와 너비 그리고 목표지점이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누군가 ‘라떼는’ 하고 말하면, 잠시 그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것도 나쁘지 않을 성싶다. 누구나 ‘조르바’의 경험을 할 수는 없지만, 그의 인생에서 배울 것은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