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적석목곽묘의 봉분을 설계한 방법.
신라 적석목곽묘의 봉분을 설계한 방법.

경주에 한번 쯤 와 본 사람이라면 시내 곳곳에 있는 집채만 한 무덤들을 보았을 것이다.

이것들은 신라시대의 무덤들로 기원후 5~6세기대인 지금으로부터 약 1600년 전쯤 만들어진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라는 무덤이다. 돌을 쌓아 만든 나무 덧널무덤이라는 뜻으로 ‘돌무지 덧널무덤’이라고도 불린다.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가야에서는 볼 수 없는 신라 특유의 무덤 양식이다.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를 중심으로 가장 많이 축조됐고, 경주 주변지역에서도 일부 확인되고 있다.

현재 경주시내에는 대략 50기 정도의 무덤이 있다. 하지만 원래 수 천기 이상의 무덤이 있었으며, 당시의 왕인 마립간(麻立干)과 친족, 귀족들이 묻힌 공간이었기에 오늘날로 보면 현충원과 같은 대규모 공동묘지였다. 다행스러운 것은 신라시대 사람들이 살던 지표면이 현재 사람들이 살고 있는 지표면보다 대략 1.5~2m 가량 낮기 때문에 대부분의 무덤은 봉분이 거의 파괴되었어도 부장품과 무덤 주인공이 묻힌 부분은 지하에 온전히 남아 있다. 이 때문에 대릉원 주변 일대의 주택이나 도로 밑에서는 지금도 문화재조사를 통해 많은 무덤들이 확인되고 있다.

적석목곽묘는 무덤 주인공과 부장품을 넣는 목곽(木槨·나무 덧널)이 있고 그 주변으로 적석(積石·돌무지)을 한 다음, 다시 그 위를 흙으로 덮어 봉분을 만든 구조이다. 봉분의 가장자리에는 돌담처럼 쌓아 만든 호석(護石·둘레돌)도 설치돼 있다. 이러한 적석목곽묘는 봉분의 규모에 따라 지름이 10m정도의 소형에서부터 약80m에 이르는 초대형 무덤도 있다.

특히 봉황대(鳳凰臺)라는 무덤은 현재의 규모가 지름 약80m, 높이 약20m정도로 한국에서 단일 고분으로는 가장 크다.

적석목곽묘는 규모에 따라 내부구조가 조금씩 다르지만 축조방법과 순서는 일정하다. 먼저, 묘광(墓壙·무덤 구덩이)을 파고 그 안을 강돌과 자갈로 채운다. 그 위에 목곽(木槨·시신과 부장품을 안치하는 공간)을 설치하는데, 무덤의 규모가 커지면 목곽을 이중(二重)으로 만들기도 한다. 그런 다음 목곽 주변으로 사람 머리 크기의 강돌로 쌓아 적석부(積石部)를 만든다. 이때 사용된 돌은 평균적으로 7~8kg 정도이며, 사용된 돌의 개수는 무덤 크기에 따라 수천 개에서 수십만 개에 이른다.
 

경주의 신라 고분 분포도.
경주의 신라 고분 분포도.

봉분 지름이 30m 이상인 중대형급 무덤들은 적석을 쌓기 전에 목조가구시설(木造架構施設)을 설치한다. 바닥에 일정한 간격으로 통나무기둥을 세우고 가로로도 통나무를 연결해 만든 구조물이다. 마치 어린이 놀이기구인 정글짐과 같은 형태인데, 적석이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뼈대시설이다. 이렇게 적석과 목곽을 설치하고 나면 목곽 안에 주인공과 함께 부장유물을 넣는다. 유물은 토기(土器), 마구(馬具·말을 부리거나 장식하기 위한 물건), 무기(武器), 농공구(農工具), 장신구(裝身具) 등 다양하게 들어간다.

처음에는 무덤 주인공이 들어가는 주곽(主槨) 외에 주인공의 발쪽에도 별도 부곽(副槨)을 만들어 유물을 따로 부장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부곽은 사라지고 주곽 내에만 유물을 부장하게 된다.

주인공은 주곽 한 가운데에 동서방향으로 안치하는데, 머리 방향을 동쪽으로 두는 것이 전통적인 방식이다. 주인공을 안치할 때는 목관(木棺)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관 없이 그대로 안치한 경우도 있다.

이렇게 매장이 완전히 완료되면 목곽 뚜껑을 닫고 그 위로 다시 얇게 강돌을 깐다. 그런 다음 점토(粘土)를 덮어 목곽 상부를 완전히 밀봉한다. 마지막으로는 목곽과 적석 위로 봉긋한 봉토를 쌓아 올려 무덤 축조를 완료한다. 이때, 봉분의 지름과 높이의 비율은 4:1정도가 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적석목곽묘를 위에서보면 원형처럼 보이지만, 정확히는 모두 타원형으로 만들어진 무덤이다. 타원형은 원형과 달리 초점(焦點)이라고 하는 2개의 점을 이용하여 그려진다. 적석목곽묘에서는 무덤 구덩이(墓壙)의 동서방향(긴 방향) 양 끝점이나 적석부의 양 끝점을 초점으로 하여 타원형인 봉분을 설계했다.

이렇게 정밀하게 계산된 방식으로 무덤을 만들다 보니 목곽과 봉분의 긴 축 방향이 완전히 일치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면 봉분의 호석만 있더라도 목곽의 크기와 위치를 추정할 수도 있다.

심현철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원
심현철
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원

이러한 봉분 설계방식 역시 신라 적석목곽묘 특유의 것이다. 기하학이 발달되지 않았던 고대에 신라인들이 타원이나 이와 관련된 수학 이론을 완벽히 습득하고 있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동아시아에서도 수학의 역사가 가장 오래된 중국에서 조차 타원과 같은 기하학이 알려진 시점은 중세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전래된 이후이기 때문에 신라고분에 반영된 이 같은 내용은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고고학 연구자들에 의해 신라 고유 무덤인 적석목곽묘의 구조와 축조방법, 축조기술 등에 대한 많은 내용들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무덤에 사용된 수많은 돌들을 어디에서 어떻게 운반해왔으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동원돼 어떤 방식으로 쌓고 유지했는지 다 알아내지 못했다. 부디 이 글을 읽는 독자들 가운데 미래의 고고학자가 나타나 적석목곽묘가 가지고 있는 많은 미스터리를 풀어줬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