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혼자 여행했던 베트남의 거리 풍경.

열일곱의 나는 모든 것이 싫었다. 학교는 왜 다녀야 하는지, 대학은 왜 진학해야 하는지, 우리는 왜 굳이 태어나서 허망하게 죽어야 하는 건지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세상에는 모종의 음모가 도사리고 있고 그건 분명 나를 괴롭히기 위해 구축된 시스템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 비대한 자의식은 사실 나는 먼지만큼이나 작은 인간이라는 것을 상기하는 반증에 불과했다. 어차피 끝은 정해져 있으며 내가 원하는 미래의 모습은 아무리 노력해도 될 수 없을 것이라는 묘한 패배주의에 빠져있던 것이다.

요즘의 학생들도 그때의 나와 비슷한 기분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소설 수업을 하면서 이런저런 대화를 나눠보면 “제 인생은 망했어요” 하는 말로 끝맺음을 짓기 일쑤다. 그럼 나는 당황하고 마는데 이 친구들은 그때의 나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나도 조숙하고 열린 태도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 보이기 때문이다. “너희들은 정말 잘하고 있어.” 진심을 가득 담아 이야기하지만 별로 와 닿아 보이진 않는다. 그저 선생의 의례적인 위로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나 역시 그랬으니까.

혼자서 베트남을 종단했던 적이 있다. 커다란 배낭 하나 둘러매고 호기롭게 떠난 여행이었다. 하노이를 떠나 사파에서 2박3일을 보내고 다음으로 예정된 도시는 닌빈이었다. 땀꼭 호수를 바라보며 휴식을 취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사파에서 닌빈으로 이동하려면 슬리핑 버스를 타야 했다. 나는 머물고 있던 숙소의 호스트에게 닌빈으로 가는 버스표를 예매해줄 수 있냐고 물었고 그는 흔쾌히 알겠노라고 답했다. 자신의 오토바이에 나를 태우고 터미널에 데려다주기까지 했다. 엄지를 척 내미는 그의 환한 미소만 믿고 아무 확인 없이 버스에 올라탄 것이 실수였다. 8시간을 달려 도착한 곳은 라오스와 국경이 맞닿은 도시, 디엔 비엔 푸였다.

그러니까 나는 내가 원했던 곳과 정반대에 위치한 도시에 떨어진 것이다. 호스트의 실수였던지 내 실수였던지 모르겠지만 완전히 잘못되었다는 것은 분명했다. 도착한 시간은 늦은 밤이었다. 설상가상으로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나는 부랴부랴 터미널 근처의 숙소를 예약했다. 주인은 불친절했고 침구는 더러웠으며 숙소 근처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피로하고 지친 마음으로 침대에 누웠다. 피곤은 쏟아졌지만 잠이 오지 않았다. 애써 짜놓은 계획이 모두 틀어졌다. 시간과 예산이 부족했고 예약된 일정을 모두 취소해야 했다. 축축하게 젖은 마음은 부패되어 곰팡이가 필 지경이었다. 나는 몸을 웅크리고 앉아 눈물을 뚝뚝 흘렸다. 그리고 생각했다. 아, 망했다.

그렇게 퉁퉁 부은 눈으로 맞이한 다음 날 아침, 나는 무작정 숙소를 나섰다. 여행 책자에도 인터넷에도 이 도시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았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낙담한 기분으로 발길이 닿는 대로 걷다가 멈추기를 반복했다. 지금 떠올려보면 그때의 나는 많은 것과 마주했다. 말이 통하지 않는 가게 주인에게 손짓발짓으로 주문한 볶음 쌀국수와 철부지 동네 꼬마들. 망망하게 펼쳐진 도시를 바라보며 단숨에 읽어 내려갔던 로맹 가리의 ‘자기 앞의 생’에서의 감동. 그렇게 나는 계획에도 없던 도시에서 이틀을 보내고 다시 하노이로 돌아와 여행을 재개했다. 여행 일정은 완전히 수정되었지만 오히려 나는 홀가분하고 자유로운 기분으로 이곳저곳을 유랑할 수 있었다.

우리는 무언가를 시도하려고 할 때 먼저 실패하는 상황을 걱정한다. 이게 끝이라면? 여기가 나락이라면? 두려움은 경험을 가로막는다. 차라리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라고 여기기도 한다. 하지만 세상은 어느 날 갑자기 성난 파도처럼 몰려와 우리를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몰아넣는다. 유려한 서퍼처럼 거친 물살을 헤쳐 나가면 좋겠지만 균형을 잡지 못한 채 바닥으로 꼬르륵 잠길 수도 있다.

돌이켜보면 다양한 실패의 경험이 지금의 나를 구성하고 있다. 실패한 사람이 될까봐 두렵지만, 실패가 두렵진 않은 나를. 그러니 나는 언제든 실패할 준비가 되어있다. 사무엘 베케트가 남긴 그 유명한 정언처럼. ‘실패하라, 또 실패하라, 그리고 더 나은 실패를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