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해양바이오 10년 계획’에
동해안 개발 관련 세부안 빠져
우수 인프라 부각 적극 나서야

동해안 바이오산업의 중심지인 포항시가 해양바이오 산업 진출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정부가 마련한 ‘세계 해양바이오시장 선점 전략’에 동해안 해양바이오 개발 계획이 빠져 있어 포항의 풍부한 바이오 관련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활용한 해양바이오 사업 다각화 대책이 필요하다.

14일 해양수산부는 해양바이오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추진할 주요 과제를 담은 ‘세계 해양바이오시장 선점 전략’을 마련해 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보고했다.

해양바이오는 해양생물에서 바이오소재를 개발해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분야이다. 현재는 전 세계 약 33만종의 해양생물 중 1% 정도만 바이오 소재로 이용되고 있어 향후 해양생물을 통한 바이오 신소재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는 국내 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를 통해 국가 성장동력을 마련하고 세계 해양바이오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10년간의 계획을 담은 대책을 마련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국내 해양바이오시장 규모를 1조2천억원 수준으로 확대하고, 선도국과의 기술격차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산업기반 조성과 해양바이오 연구개발(R&D) 혁신 전략을 추진한다.

문제는 정부의 발전전략에 동해권의 해양바이오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이 나와있지 않다는 것이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서해권에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2023년에 준공할 예정인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를 중심으로 기업들의 사업화 과정 전반을 지원한다. 또 2025년까지 인천항 배후부지에 해양바이오 특화단지를 지정해 해양바이오 기업에게 장기 임대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남해권 역시 국내 최대 해조류 생산지인 점을 활용해 바이오 소재 생산시설 등을 구축해 소재 공급기지로 개발한다. 이와 관련해 충청남도는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 내 기업 입주 등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바이오협회와 협력방안을 논의 중이고, 전라남도는 해조류 기반 소재 생산시설 구축과 관련된 실무 자문과 장비 공유 등을 위해 프라임제약 등 바이오기업과 협력할 계획이다.

반면 동해권은 기존 연구 인프라와 연계해 기초 및 융복합 연구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라는 언급밖에 없다. 다만 이 중에서 ‘기존 연구 인프라’라는 부분은 포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포스텍이나 한동대를 의미에 둔 것으로 짐작된다.

이는 “홍합 단백질의 접착성분을 이용해 흉터없이 상처를 봉합할 수 있는 생체접착제를 개발하는 등 해양바이오 분야에서도 유의미한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다”는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의 정부 발표 관련 언급에서 나온 부분이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연구팀의 성과이기 때문이다. 해당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해양바이오산업신소재연구단’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로이터가 ‘2019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100대 대학’평가에서 POSTECH의 대표적 혁신 기술로도 소개하기도 했었다.

이렇듯 우수한 인프라를 보유한 포항시는 이번 정부 발표를 계기로 포스텍은 물론 해양미생물 전문가인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 도형기 교수와 함께 해양바이오 관련 사업 계획 수립에 발빠르게 나선다는 방침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이번 정부의 발표를 계기로 포항의 바이오산업이 좀 더 활력을 찾을 수 있게 됐다”며 “기존 그린바이오와 더불어 동해안권의 해양바이오 산업을 선점해 포항을 바이오 중심도시로 키워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