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세상 돌아가는 일 생각하면 모든 게 허망하다는 생각 떨쳐 버리기 힘들다.

정의라는 말은 이제 정의가 아닌 것을 가리키는 말, 어느 패를 지지하는 용어가 되었다. 정의를 구현한다는 것은 무슨 민정당 시절 어법 같은 느낌을 준다.

진보라는 말처럼 터무니 없는 표어는 없다. 자유 없는 땅의 인권조차 문제 삼지 않는 진보가 무슨 진보며 유토피아란 말이냐.

애국이란 말처럼 쉽게 더럽혀지는 말도 없다. 옛날에는 애국학생이란 말이 그렇게도 유행했다. 요즘에는 애국시민, 애국보수 등으로 말이 새끼를 쳤다. 서로 다른 극은 통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시절이 이렇다 보니, 서명처럼 부질없는 행위도 없다. 어느 날 자고 일어나 654라는 숫자를 인터넷 화면에서 발견한다. 성직자들도, 교수들도 이 진흙탕 싸움에 이름을 걸었댔다. 이번에는 작가들이다.

지금 벌어지는 일에 무슨 근본적인, 중차대한 함의가 있었던가를 다시 생각한다. 어딘가를 개혁하는 일이 그렇게도 중요한 일이었던가. 다른 한편에서는 문제가 거기 있지 않다고들 난리가 났다. 그럴듯한 명분으로 치부를 가리려는 게 아니냐는 주장이다. 일단 벌이는 모양부터 안 좋다고들도 한다.

지난 정부 때 억울했던 일이 생각난다. 어느날 SBS 8시 뉴스에 내 이름이 버젓이 블랙리스트 명단에 올랐다.

이름하여, 제주 미 해군기지 건설 반대, 성주 사드 배치에 반대 등에 서명을 했다는 것이었다. 정말 그렇다면 내 손에 장을 지져야겠다. 나는 미국이며 중국의 국제 군사전략 같은 것을 둘러싸고 어떤 의사도 표명해 본적 없다. 하물며 서명이라니 말이다.

뭔가 불온해 보이는 자를 처리하는 방법일 것이다. 옛날에 작가 이상은 일본에 갔다 거기서 불령선인으로 몰렸다. 경찰에 잡혀 들어가 차가운 유치장에 갇혀 죽게 되어서야 풀려났다. 그가 세상 떠날 때 병원에서 결핵성 뇌매독이라 판정했다. 하지만 그것은 불령선인에게 억지로 뒤집어씌운 병명일 가능성이 높다.

이름은 귀한 것이라 생각한다. 이돈화의 ‘천도교 창건사’에 동학 때 일어난 사람들 이름이 몇 장에 걸쳐 빼곡하게 적혀 있다. 오로지 이름 석 자가 그네들의 삶과 투쟁과 죽음을 대변할 뿐이다. 거기 그 책에 그네들의 이름이 적혀 있는 것으로, 모든 것이다.

작가는 저마다 자기 한 세상을 여는 사람이다. 남의 세상 여는 데 따라다니는 사람도 아니요, 시간 지나면 헛될 싸움에 매달릴 것도 아니다.

왜들 말리지 않는지? 힘든 백성들 지치고 병들어 가는 그 모든 것 다 안 보고 무엇에 매달려 싸움을 벌이는지?

남정현 선생이 돌아가셨다는 부고. 인생은 덧없고 작가로 살기 어렵다. /방민호 <서울대 국문과 교수> /삽화 = 이철진 <한국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