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포항은 어떤 도시일까. 포항을 떠올리면 사람들은 어떤 상상을 할까. 거친 바다, 딱딱한 철강, 투박한 말씨, 거친 느낌 등이 아니었을까. 그랬던 포항이 바뀌어 간다. ‘문화도시’로 지정되었으며 ‘축제도시’로 풍성한 이야기를 담는다. 폐철도를 따라 만들어낸 철길숲은 도시에 숨길을 트이게 하였다. 바다와 육지, 도시와 사람이 함께 호흡하는 지역으로 다시 태어나는 중이다. 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의 배경이 되어 전국적인 관심도 자아낸다. 포항은 산업경제도시에 더하여 문화관광도시로 변모해 간다.

‘철강 다음은 무엇일까.’ 도시는 같은 질문을 십 년도 넘게 던지고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나라의 기간산업을 일으키는 토대를 만들며 분주했던 도시는 새로운 도약대를 찾느라 상상력과 창의를 모은다. 지역이 이제는 무엇으로 살아갈 것인가. 철강을 모티프로 사람을 모았다면 앞으로는 무엇을 테마로 흥미를 끌고 모여들게 할 터인가. 어떤 이야기가 있어 청년들에게 가슴이 뛰는 기회의 문을 열어줄 것인가. 문화를 주제로 노력을 기울인 끝에, 포항은 ‘경북콘텐츠기업 육성센터’를 유치하였다. 지역문화와 콘텐츠를 기르면서 안정적인 창업환경을 만들라는 명제를 짊어지게 되었다.

숲길과 함께 물길도 트인다. 육지와 바다를 잇는다. 포항시는 도시하천의 복개 구간을 걷어내 생태하천을 만들 계획이다. 학산천, 두호천, 양학천과 칠성천의 옛 모습을 회복하여 이미 조성된 도시숲과 함께 시냇물과 숲이 도시에 어우러지는 자연환경을 되찾을 것이다. 천혜의 자연과 사람의 이야기가 더할 나위 없이 버무려지는 흔하지 않은 지역이 되어갈 모양이다. 포항뿐 아니라 경북 전역에 이런 트렌드를 나눌 거점이 되어 나라의 문화지형에도 기여하게 될 터이다. 지나온 길이 가지는 의미가 깊을 뿐 아니라 미래지향적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있어 지역의 내일에 높은 기대가 걸린다.

보이는 물건에 승부를 거는 시절은 저물어 간다. 보이지 않는 이야기에 내일을 거는 방향이 보이지 않는가. 끝내 손에 쥐는 물건이 있다고 해도 그를 움직이는 이야기가 있어야 한다. 콘텐츠기업을 기르겠다는 뜻은 이야기를 찾아내어 영향력과 경제성을 함께 만들어가겠다는 의지가 아닐까. 포항은 이제 상상력에 미래를 걸게 되었다. 바닷사람들의 거친 숨소리에서 이야기를 찾아야 한다. 철강을 다듬던 기억에서 이야기를 드러내야 한다. 고을마다 배어있는 옛날이야기의 가치를 다시 발견해야 한다. 센터를 세우지만, 이야기를 찾는 일은 사람들의 몫이 아닌가.

콘텐츠에 기대를 걸지만, 문화로만 승부하지 않는다. 산과 바다, 사람과 이야기, 문화와 기술이 어우러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나아가야 한다. 힘들여 잡은 기회로부터 구체적인 성과가 일어나도록 필요한 사람도 잘 찾아야 한다. 콘텐츠가 살아나는 길목에는 글로벌시장을 겨냥하는 열린 안목도 갖추어야 한다. 포항과 경북은 소프트파워를 창작해내는 거점이 되어 세계로 다가가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