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문경수필가
배문경
수필가

1954년 오늘 조지프 머레이와 하트웰 해리슨이 환자에게 쌍둥이의 콩팥을 이식했다. 인간의 장기이식에 성공했다. 신장이식이라는 획기적인 일을 통해 인간의 수명은 더욱 연장되었다. 더 나아가 생명은 선순환의 신기원을 이루었다.

오래전 만난 할머니는 흰 머리를 곱게 빗어 늘 비녀를 꽂았다. 참빗이 한 올 한 올 머리카락을 통과하는 사이에 몇 올은 버려지고 매끄러워진 머리는 정수리에서부터 쓸어내려 뒤로 쪽을 지었다. 여든을 넘긴 몸 어디에도 함부로 범할 수 없는 단호함이 서렸고, 흐트러짐이 없었다. 죽음으로 가면서 어떻게 하루하루를 똑같은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을까. 호스피스병동이 없는 병원의 일 인실에서 통증을 어떻게 참으며 자신을 다독였을까.

노인들은 젊은 사람들에 비해 암이 천천히 전이되거나 죽음으로 천천히 간다. 그래서 가족들은 환자 당사자에게 쉬쉬하며 돌아가실 때까지도 숨기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무엇인가가 잘못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안다. 자식들이 힘들까 봐 도리어 침묵한다. 그 마음속에는 묵직한 바위 하나가 들어 있었으리라.

할머니도 그런 사람 중에 하나였다. 아들과 며느리, 딸들이 그들의 자식들을 데리고 자주 왔다. 먼 곳의 자식들은 주말에 들러 계절과일을 깎아 두거나 정성들인 음식을 갖고 왔다. 할머니는 큰소리로 말하거나 음식을 먹는 모습을 잘 보이지 않았다.

간혹 할머니가 창가를 서성이거나 밖을 바라볼 때 슬픔의 무늬가 어른거렸다.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하고 담아둔 살아온 삶의 회한이 왜 없었을까. 살고 싶다고 발버둥을 치고 싶지는 않았을까. 아무도 할머니께 그 죽음으로 가는 길을 얘기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 끝이 결국 마지막을 향해 열려있는 문이라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아는 듯했다. 찬찬히 자신의 삶을 하나하나 정리해가는 단단하고 정갈한 마음가짐을 엿볼 수가 있었다. 자신을 잘 갈무리하는 모습을 보며 마음 한쪽은 늘 무거웠다.

누구나 자신의 죽음을 직감할 때가 있다. 어린 날 추억 속을 더듬어보면 집에서 키우던 송아지가 암소가 되었다. 부모님께는 큰 재산이었고 나에게는 누렁소가 가족처럼 정다웠다. 어느 날, 학교에 다녀오니 소를 팔았다고 했다. 그 소리에 밖으로 뛰어나갔을 때 소를 실은 트럭이 덜컹거리며 내 앞을 지나갔다. 그 트럭 속에서 나를 바라보던 집에서 가족처럼 함께 하던 소를 보았다. 소는 그 큰 눈망울에 눈물이 그렁그렁했다. 도살장으로 가는 길이란 것을 알고 있는 듯이.

밤새 안녕이었다. 누웠던 침대 시트는 새로 깔아져 있었다. 자신의 운명이 바람 앞에 촛불임을 알고 얼마나 절망했을까. 자식들이 힘들어할까 봐 혹은 타인에게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해 면벽 승처럼 단단히 자신을 옭아맨 채 버텼을 노인을 생각하니 마음은 나사가 빠진 듯이 덜컹거렸다. 창밖에 봄비가 내리고 있었다.

인근 대학병원으로 이송된 할머니의 몸은 대학교에 기증되었다. 의대생들의 해부학 시간에 실습용으로 제공되리라는 이야기를 뒤늦게 들었다. 돌아가시기 전에 자신의 몸이 의학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는 속내를 밝혔다고 했다. 여든이 넘은 노인이 어떻게 기증을 생각했을까. 그토록 대단한 결단을 내릴 수 있었던 힘은 자신의 삶을 지탱하던 정신력의 산물은 아니었을까.

결코, 쉬운 결정이 아닌 사체 기증을 승낙한 할머니는 온 도시를 불붙이던 벚꽃이 채 다 떨어지기도 전에 눈을 감았다. 감은 눈에 맺혔을 눈물 한 방울은 금강석처럼 반짝이지 않았을까. 고요의 시간 속으로 날개를 퍼덕이며 날아오르는 새 한 마리를 본 것 같았다.

오늘 그 할머니를 다시 생각한 것은 누군가의 생명이 누군가에 의해 살아나고 있으리란 희망 때문이다. 겨울 찬바람에 옷깃을 여미지만 봄엔 환하게 꽃이 필 것이고 냉골 같은 고통에서 벗어난 환자들이 건강한 모습으로 웃을 것이다. 선순환을 몸소 실천한 할머니가 봄꽃처럼 환하게 웃으실 모습을 떠올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