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이 내리면 작은 등불 하나 밝힌다. 암흑의 천지를 다 밝힐 수는 없지만, 그 누구의 호젓한 마음 하나 밝히기 충분한 빛이다. 언젠가는 어두운 밤하늘 수많은 별 중의 하나 되어 영원히 빛날 그 빛이다.’

사진에서의 대상은 ‘실제로 존재했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리고 영원할 것이라는 착각을 불러일으키게도 하고 그 대상이 과거의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도 한다.
 

또한, 내 눈앞에서 존재하고 있다 하더라도 미래에는 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사진에서의 대상은 존재한다는 것과 사라졌거나 사라지리라는 것을 함께 의식하게 되므로 존재와 부재를 동시에 증명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사진 이미지의 특성 중 하나인 시간의 다양성이라 하겠다. 따라서 대상의 존재와 부재에 대한 사유는 시간의 다양성 선상에 있게 된다.

나호권 사진작가의 ‘어머니-어둠이 내리면’ 작품들.
나호권 사진작가의 ‘어머니-어둠이 내리면’ 작품들.

아울러 대상관계 이론에서는 인간의 심리구조를 인간 상호작용 차원에서 조명한다. 이 이론에 비추어 보면, 어머니는 그 상호 작용의 첫 대상이며 심리구조 형성의 기초가 된다. 어머니에 대한 존재와 부재에 대해 인식하거나 간과(看過)하고 있더라도 어떠한 형태로든 개개인의 심상에는 남아 있기 마련이다. 어머니란 존재가 나(자아)를 형성하는 원초(原初)가 된다는 이론은 어머니가 나 자신이기도 하다는 의미이다. /나호권(사진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