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효선씨

“너의 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라고 시작하는 신경숙님의 책을 읽으면서 나는 나의 엄마에 대해서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두 아들의 엄마인 나 자신도 생각해 보았다.

엄마가 아니면 공감할 수 없는 가슴 먹먹한 내용들로 인해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엄마는 태어나면서부터 엄마인줄 알고 무엇이든 자식을 위해서 해줄 수 있는 사람 이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런 엄마도 누군가의 딸 이었거나 한 남자의 여자였으며 사랑 받기를 갈망하는 존재임을 잊어버리고‘엄마’라는 이름으로 살기를 강요당하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우리 아들에게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엄마였고 처음 만나는 세상이었고 울타리였다. 모든 것으로부터 지켜줄 수 있을 것 같은 그 엄마가 아이가 커가면서 엄마의 곁을 떠나게 되고 힘없고 늙은 엄마는 세상의 울타리가 되어 주기에 너무 작아져 버렸다. 그러면서 우리는 엄마를 점점 잊어버리게 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이 책은 생일을 맞아 서울에 있는 자식 집을 아버지와 함께 상경한 엄마를 지하철역에서 잃어버리면서 엄마를 기억해 내는 과정을 통해 과거의 나를 만나게 된다. 항상 자식들에게 “미안하다”고 했던 엄마. 같은 걸음으로 남편과 걷기를 바랬지만 남편은 앞장서 가면서 뒤처져 따라오는 아내를 나무란다. 뒤돌아보면 엄마는 항상 있었다. 엄마를 잃어버린다는 것을 나의 삶의 전부를 잃는 것이었다. 책의 마지막에서 우리는 우리의 엄마를 절대적인 힘을 가진 이에게 부탁을 한다. 엄마를 찾기만 하면 자기의 모든 것을 바쳐 엄마를 돌보고 싶다는 욕망으로 가슴이 터질 듯 하지만 그럴 능력이 없음을 알고 절망하던 큰아들 형철의 모습에서 우리는 노년의 부모를 책임지기에 버거워하는 우리의 모습을 만나게 된다. 부모들도 자식들에게 짐이 될까 전전긍긍한다.

가족이라는 이름은 누군가에게 짐이 아니라 같이 있게 행복한 존재들로 남기를 소망한다. 나는 아이를 키우고 가르치기 위해 독서모임하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아이의 글쓰기 선생님을 통해 신문의 독자란에 글을 쓰면서 “나에게도 이런 재주가 있었지”하며 잊고 살던 꿈을 찾게 되었다. 이 또한 엄마이기에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50대 중반에 초등학교 남자아이 둘을 키우는 워킹맘으로서 고단함도 있지만 엄마로서 기쁨과 감사가 더 많다. 13년을 엄마로 살아 그 깊이를 다 알 수 없는 초보 엄마가 세상의 모든 엄마에게 감사를 드리며 이 글을 쓴다. /전효선(포항시 북구 흥해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