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산미켈레 교회.

르네상스의 도시답게 피렌체에서는 거리 곳곳 어디로든 눈을 돌리면 거장들의 걸작을 마주할 수 있다. 여행객들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역사의 흔적들이 이곳에서는 그저 평범한 일상에 불과하다. 피렌체만큼 훌륭한 역사책이 또 있을까? 꽃의 도시라는 별명의 이곳 중심을 가로지르는 거리 비아 칼차이우올리(Via Calzaiuoli). 그 유명한 두오모를 지나 시뇨리아 광장을 향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접어들게 되는 길이다. 칼차이우올리를 걷다보면 오른편으로 색조 대리석의 장식 없는 건물이 하나 보인다. 투박한 건물은 마치 외부와는 단절된 도시 속 요새 같이 보인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곳이 오르산미켈레(Orsanmichele)라는 이름의 교회라고 한다. 일반적인 교회건축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무슨 사연이 있는 것이 분명하다.

오르산미켈레는 원래 곡물창고였다. 중세가 가을을 맞이해 저물어갈 무렵 도시들이 발달하고 농업에서 상업으로 경제구조가 서서히 변하게 된다. 사람들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도시로 몰려 들었다. 풍부한 노동력으로 도시 경제는 활기를 띠었지만 뜻하지 않게 식량난이 발생했다. 대토지를 소유한 주교들이 폭리를 취하기 위해 곡물가격을 터무니없이 올려놓았기 때문이다. 길드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폴리 왕국으로부터 대량의 곡물을 들여왔고 이를 보관하고 거래하던 창고로 사용되던 곳이 오르산미켈레이다.

오르산미켈레에서 곡물을 사고 팔던 상인들은 하루를 마무리하기 전 기둥에 그려진 성모 마리아 그림 앞에서 기도를 드렸다. 그런데 이 성상이 기적을 행한다는 소문이 돌았고, 심지어 교황이 공식적으로 이곳을 성지로 선포를 한다. 그 때가 1292년 7월이다. 신비로운 기적을 체험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방문해 봉헌을 했고, 이 돈으로 곡물을 사들여 도시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료로 음식을 나눠 줬다. 절정에 달했을 때는 하루에 8천명의 사람들이 이곳에서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데 1304년 불행하게도 화재가 발생하면서 성모 마리아 그림이 완전히 불타 버렸고 훗날 화가 베르나르도 다디에 의해 복원됐다.

14세기 초, 피렌체의 인구는 대략 10만 여명으로 당시 유럽의 도시로는 꽤 규모가 큰 편이었다. 그런데 1346년 검은 죽음이라고 불리는 흑사병이 창궐해 유럽 전역을 공포로 몰아넣었다. 7년 동안 유럽 전역에서 7천500만 명이 생명을 잃었다. 유럽 인구가 절반으로 준 것이다. 피렌체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고 흑사병이 물러갔을 때 이곳의 인구는 겨우 3만 명 남짓에 불과했다.

흑사병의 창궐과 세상을 뒤덮은 죽음. 사람들은 이성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엄청난 일을 당하게 되면 보이지 않는 세계에서 그 답을 찾으려고 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당시 사람들은 검은 죽음을 진노한 신이 내린 대재앙으로 여겼다. 그리고 죽음의 그림자를 피하게 해 주는 영험한 효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오르산미켈레의 ‘은총의 성모 마리아’를 찾아 기도를 올렸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았던지 봉헌한 돈이 35만 플로린, 지금 돈으로 환산해 보면 자그마치 2천800억 원이나 된다.

1380년경 피렌체 주요 길드 연합은 오르산미켈레를 교회로 개조했다. 르네상스가 이제 막 꽃을 피울 무렵 피렌체 대표 14개의 길드들은 자신들의 수호성인을 조각으로 만들어 오르산미켈레 외벽을 장식했다. 건물 외벽은 시각적 공공을 지닌 장소이니 만큼 요즘 식으로 일종의 공공미술인 셈이다. 길드들은 경쟁적으로 가장 명성이 높은 미술가들에게 작품을 의뢰했다. 미술가 섭외에 열을 올린 것은 길드 간에 부와 명예 그리고 자존심이 걸려 있었기 때문이다. 수많은 천재들이 피고 지던 르네상스의 중심지에서 최고의 미술가를 모셔 올 수 있다는 것은 상징하는 바가 크다. 덕분에 미술가들의 몸값과 사회적 지위 그리고 자존감이 높아졌다.

브루넬레스키의 그 유명한 돔이 머리를 장식하는 대성당을 지나 구 시청사 팔라초 베키오가 자리한 시뇨리아 광장으로 향하면 비아 칼차이우올리를 걷게 된다. 그리고 조금 걷다 보면 조각 작품으로 장식된 투박한 건물이 이제야 눈에 들어온다.

/미술사학자 김석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