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길수<br>수필가
강길수
수필가

지지 않는 꽃이라도 된 걸까. 세모(歲暮)로 가는 12월 중순. 밤에 서리가 내릴 기온인데, 붉은 장미가 제법 많이 피었다. 높은 적색 벽돌 담장 위다.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초록 잎 스카프 두르고, 앳된 볼을 붉히며 일제히 해를 바라본다.

오뉴월의 화려한 얼굴의 장미는 아니지만, 사춘기 소녀같이 수줍다. 봄, 여름, 가을 다 겪은 장미가 어찌 저리도 풋풋한 얼굴을 피워낼 수 있단 말인가. 사람이라면 저승 문턱을 넘었을지도 모를 때인데, 아직도 이팔청춘을 구가하고 있다니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마치 금단의 집이라도 되는 양, 옛 성채(城砦)같이 높은 담장 위로 피어난 수줍음에 신비스러운 기운마저 감돈다.

오랜 세월, 숱한 곳에서 많은 장미를 보았다. 하지만 젊은 날, 부푼 꿈속에 시작한 첫 직장의 철망 울타리에 일제히 피어났던 장미의 장관(壯觀)을 잊을 수가 없다. 계절의 여왕 오월이 되면, 철 울타리는 온데간데없고 장미 울타리가 근 십리 길을 밝혔다. 차를 타고 지나가도 사람들은 감동했다. 하물며 장미 울타리 곁 보도를 걷거나 자전거 타고 지나가노라면, 그 모습과 향기가 사람을 홀리고도 남았다. 마치, 하늘나라 울타리를 보고 있는 듯도 하였다. 사람을 자기도 모르게 시인이 되고, 작가도 되며, 음악가가 되고, 화가도 되게 만들었다.

어링불 아름답던 해변에 세워진 거대한 제철소. 그 앞으로 연오랑 세오녀의 고장 도기야로 가는 길이 옮겨졌다. 길옆 보도와 공장지대를 구분하는 철망 울타리도 세워졌다. 자칫 딱딱해 보일지도 모르는 제철소의 철망 울타리에 장미를 심은 것은, 지금 되돌아보아도 탁월한 선택이었다. 학교를 갓 졸업하였거나, 군에 바로 다녀온 젊은 사원들이 대부분이었던 그때의 제철소. 봄날이면 출퇴근 때마다 만나는 장미 소녀의 예쁜 얼굴과 온몸을 감싸는 그녀의 향기에 저절로 즐거운 일터가 되었다.

직장을 바꾸고, 일에 매달리며 장미의 기억은 멀어져 갔다. 사는 게 무엇인지 중, 장년으로 가는 동안 마음도 시나브로 메말라 갔다. 시간의 강물이 흐르는 동안 장미 나무는 늙고, 회사의 경영진도 바뀌었다. 아름다웠던 장미도 어느 날 자취를 감추었다. 장미가 있던 자리엔 낯선 나무가 들어서고, 그 뒤로 녹지가 조성되었다. 이런 변화가 일어나면서, 제철소의 장미도 내 마음에서 판도라의 상자 밑바닥에 가라앉아 버렸다.

긴 세월이 흘렀다. 다른 곳에서 해마다 장미는 피고 지고를 반복했건만, 젊은 날의 장미는 내 마음에 좀처럼 다시 피어나지 않았다. 반세기 가까운 세월 동안, 사람들의 삶은 많이도 변했다. 농경사회에서 산업화사회를 거쳐 지식정보화사회에 와 있다. 오프라인의 현실 정보가 온라인 곧, 정보통신의 가상세계 안에서 처리되고, 가공되며, 조정되는 시대다. 영화 ‘매트릭스’가 말해 주듯, 가상세계가 현실 세계를 좌우하는 상황들을 체험하며 살아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지구촌의 기후변화가 미증유의 사태를 몰고 올지도 모른다는 불안을 일반 시민도 느끼는 시대가 되었다. 짧은 기간에 너무 많은 생존환경의 변화가 사람은 물론 동, 식물계에도 크나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은 보도를 통해 익히 아는 바다. 내 눈에는 사람보다 식물이 그 변화에 더 빨리 대응하고 있어 보인다. 장미도 그 중의 하나다. 장미 생육 정보를 찾아보았다. 보통 장미는 기온 25℃ 전후가 적정 생육온도이며, 밤에도 16℃ 전후가 좋단다. 또, 5℃ 정도에 생육이 멈추고, 0℃ 이하가 되면 낙엽이 지고 휴면에 들어간다고 한다.

이 정보대로라면, 저 높은 담장 위의 장미는 벌써 휴면에 들어갔어야 한다. 요즈음의 밤낮 기온은 적정 생육온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러니 앳된 소녀 얼굴을 내민 저 장미들은, 무언가 절박함이 틀림없으리라. 하여 세모로 가는 장미는, 저 높은 성채 담장 위에서 사람들에게 이렇게 부르짖고 있는 게 아닐까.

“사는 환경이 이리도 빨리 변하니, 우린 겨울까지 꽃피우고 열매 맺으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