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봉지.

지금 나는 내가 스무 살 일 때의 엄마 나이가 되었다. 엄마는 열아홉 살부터 아들 다섯을 드문드문 낳았다. 나는 엄마 나이 서른여덟에 늦둥이 고명딸로 태어났다. 돌아가실 때까지 나는 엄마의 아픈 손가락이었다. 그런 내가 몇 개월 동안 현실의 아픈 손가락의 고통으로 고생 중이다. 저녁이면 붓고 아프고 구부러지지도 않는다. 밤잠을 이룰 수도 없고 통증은 새벽까지 이어진다. 어떤 이는 류머티스라 하고, 어떤 이는 퇴행성관절염이라 하고, 또 어떤 이는 갱년기 증상이라고도 했다. 가족들의 성화에 못 이겨 병원을 찾았다. 원인을 알아야 뭐든 노력해 볼 것 같았다. 한 달째 온갖 검사를 하고 의사는 내 안의 나를 공격하는 놈이 있다며 처방전을 내렸다. 다행히 나는 아직 젊고 그것들은 착한 녀석들이니 두 달 후에 다시 보자고 했다. 그때는 좀 좋아져 있을 거라고 희망을 던졌다.

예전에 아버지가 사 오시던 뻥튀기 봉지만 한 약봉지를 받아들고 보니 만감이 교차한다. 무심하게 보아왔던 그분들의 수두룩하던 약봉지들, 마치 고정 멤버처럼 식탁 위에 자리 잡고 있던 어머니 아버지의 약봉지가 자꾸만 생각난다. 그때는 그냥 연세가 들면 어른들은 다들 저런 약들을 드시는구나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왔다. 어쩌면 그렇게 어수룩하고 무심한 딸이고 며느리였을까? 멀리 산다는 핑계로 내가 한 일이라고는 빼먹지 말고 드시라고 약봉지에 날짜를 적어드리거나 약 드실 시간에 고작 알림 설정을 해 드렸을 뿐이었다. 병원에 모시고 가거나 약을 타는 것은 늘 부모님 근처에 사시는 오빠나 시아주버님의 몫이었다. 그분들의 그림자 같았던 효심과 수고로움에 새삼 고마움을 느낀다.

어느새 내가 그런 나이가 되었나 보다. 그러나 아직 누구에게 의지할만한 나이는 아니다. 가족들은 각자의 삶에 바빠 있다. 자신의 일은 자신들이 알아서 해야 할 시대이기도 하다. 무슨 일이든 자기가 체감하고 겪어봐야 제대로 이해를 할 수 있는 것 같다. 병도 그렇다. 어떤 병이든 자기가 아파봐야 남의 아픔을 이해하는 것처럼 말이다.

비가 오는 병원 담벼락을 끼고 한 손에 커다란 약봉지를 들고 한 손에 우산을 들고 걸었다. 약봉지가 비바람에 흔들린다. 약봉지 크기만큼 부모님에 대한 미안함으로 내 마음도 자꾸 흔들린다.

/김은희(포항시 남구 대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