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얼마 전에 정지창 선생이 ‘문학의 위안’이라는 서책을 출간했다. 조금 낯설지만 정겨운 느낌의 제목이 눈길을 끈다. “문학작품은 세상살이의 고달픔을 완화하고 살아갈 힘을 주는 미학적 구조물”이라는 설명이 와 닿는다. 그는 인생은 고해라는 자명한 사실을 위로하고, 삶에 지쳐버린 사람에게 그래도 살아가야 한다는 의지를 북돋우는 미학적 구조물로 문학을 포착한다.

희곡은 물론 시와 소설마저 독자들의 외면을 받는 20세기 20년대에 문학에서 위안을 구하는 선생의 자세는 놀라운 것이다. 거리에서 광장에서 지하철에서 문학을 벗하는 한국인이 있는지 궁금하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전화기에 눈과 코와 얼굴을 밀착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홍수에서 느닷없이 문학과 위안이라니?! 이런 담대한 기획의 이면에는 노장의 패기와 경륜이 담겨있을 것은 정한 이치다.

3부로 구성된 서책 가운데 나는 1부에 등장하는 ‘고은과 그의 시대’와 ‘백무산이 만난 최제선’을 주의 깊게 읽었다. 박정희의 철권통치가 기승을 부리던 1970년대 ‘자유실천문인협의회’를 결성하여 억압과 폭정에 저항했던 고은 시인의 편력이 손에 잡힐 듯 그려져 있다. 군부독재의 서슬이 시퍼렇던 시절 ‘펜’ 하나에 의지하여 불의하고 부당한 권력과 맞서 싸운 기개(氣槪) 높은 시인은 이제 코로나 블루 만큼이나 우울한 만년과 대면하고 있다.

신화는 깨지게 되어있다지만, 이토록 허망하게 하나의 시대가 뭇매를 맞고 소멸하는 것은 참혹한 일이다. 일초 선생의 기행과 괴담은 익히 알려졌으나, 그것의 붕괴가 삽시간에 진행되는 바람에 우리는 거기 담긴 함의마저 제대로 읽지 못하고 눈감아버린 것은 아닌가! 시대가 사람을 낳고, 사람은 시대를 만드는 법! “시절이 하수상하니 올동말동 하여라”하는 김상헌의 시조 가락이 가슴을 저민다.

1990년 시집 ‘동트는 미포만의 새벽을 딛고’로 노동시의 지평을 넓힌 백봉석. 부모가 지어준 ‘봉석’이라는 이름 대신 무산, 프롤레타리아로 자신을 자리매김한 시인. 그가 찾아낸 실패와 좌절과 회한의 인물 최제우의 본명은 최제선이었다. 어리석은 민중을 구하겠다고 새로 지은 이름 제우(濟愚)처럼 봉석도 노동자를 구하겠다는 일념으로 무산(無産)이란 이름을 가진다.

“스스로 일어나 스스로를 구하라/ 그리 일어나 스스로 구하는 자 모두 한울이라/자신의 모가지를 허공에 베어버린/선생이여/수운 선생이여/어찌 허공으로 세상을 내리쳤더란 말입니까” (‘최제선’ 부분)

백성이 스스로를 구하기를 바랐던 혁명가 최제우는 모가지를 길게 드리우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다. 자신의 존재를 넘고, 인간 세상의 모든 것을 초월하여 허공을 가르는 칼을 만들었던 최제우. 하지만 빈틈없는 세상은 그를 살해한다. 최제우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찾아내는 백무산의 비애가 바로 곁에 있다. 무너지고 스러진 시인들의 형상에서 작가는 시의 위안과 우리가 떨치고 나갈 동력을 찾는다. 문학은 언제까지 우리를 ‘위안’할 수 있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