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사자(강치)
바다사자(강치)

울릉군 독도에서 서식하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어부들의 남획으로 멸종된 독도 바다사자(강치)가 울릉도에서도 살았던 사실이 유전자 분석으로 확인됐다.

해양수산부는 울릉도에서 발굴한 기각류 추정 뼈가 멸종된 바다사자의 것임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해양환경공단과 부산대학교는 지난 9월 환동해 기각류 서식 실태조사를 하면서 과거 강치가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울릉도 통구미 가재굴에서 바다사자 뼈로 추정되는 동물 뼈를 20점 이상 발굴했다.

이 중 일부에 대해 부경대학교에 유전자 분석을 의뢰한 결과 국제유전자정보은행(NCBI)에 2007년 등록됐던 바다사자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최대 99.39%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릉도 통구미 거북광장에 설치된 바다사자 가족 동상
울릉도 통구미 거북광장에 설치된 바다사자 가족 동상

지난해에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가 독도에서 바다사자 뼈로 추정되는 동물 뼈 5점을 채취하고 유전자 분석을 한 결과 강치의 뼈로 밝혀진 바 있다.

기각류는 지느러미 형태의 다리를 가진 해양포유류를 일컫는 용어로, 이번 발견은 강치가 울릉도에도 서식했음을 과학적으로 증명한다.

강치는 가늘고 긴 몸에 짧은 귀와 꼬리를 가진 것이 특징이며 암컷은 1.6m, 수컷은 2.5m 정도로 자란다. 수컷의 몸무게는 최대 560㎏에 이르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동해와 일본 북해도에 주로 서식했으며 한국에서는 울릉도와 독도가 최대 번식지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본에 의해 1903년부터 1941년까지 독도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남획됐다.

특히 남획 초기인 1904년에는 약 3천200마리가 희생된 것으로 파악됐다. 강치는 지난 1976년 독도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됐고 이후에는 국내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강치를 절멸종으로 분류했다.

이재영 해수부 해양생태과장은 "울릉도에 독도 바다사자가 서식했다는 사실은 그간 문헌상으로만 기록되어 있었는데 이번 발견은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며"앞으로 관련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바다사자 복원을 위한 조사와 연구를 지속해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