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물보전·증식·복원 담당
국내 전담기관 아직 없는 실정
“생물 다양성 큰 영덕이 최적지
영양 멸종위기종센터와 시너지”
경북도, 군과 유치전 적극 나서

경북도가 해양생물종복원센터 유치전에 나선다. 원자력해체연구소와 방사광가속기 유치전 등 잇따른 국립기관 유치 실패를 만회하기 위한 또 다른 도전이다. 해양생물종복원센터가 청정 동해안에 유치되면 지난 2018년 영양군에 개원한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와 함께 국내 최고 생태환경복원의 중심지로서의 시너지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경북도는 멸종위기 해양생물에 대한 증식·복원과 교육·연구 기능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해양생물종복원센터 유치에 적극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 해역의 표층수온은 전 세계에 비해 최근 50년(1968∼2017년)간 약 2.2배 높게 상승해 해양생물상이 크게 변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해양생물을 보호하고 해양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절실한 상태다.

국내에서는 생물자원의 주권 강화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2007년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을 시작으로 국립생태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등이 잇달아 설립됐다. 특히, 2018년에는 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 영양군에서 개원하면서 반달가슴곰, 산양, 여우 등 육상생물의 체계적 종 복원의 길이 열렸다.

하지만, 육상생물보다 기후변화, 환경오염, 서식지 훼손 등의 위협에 더욱 취약한 해양생물에 대한 종 보전, 증식, 복원 및 관련 연구를 전담하는 기관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해양환경공단, 한국수산자원공단 등이 일부 해양보호생물과 수산자원에 대한 인공 증식과 방류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대규모의 시설과 전문장비 및 인력을 필요로 하는 국제적 멸종위기 해양포유류나 바다거북류, 상어류 등의 종 보전 및 복원은 시도조차 못 하고 있다.

이와 관련, 경북도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을 비롯해 우리 바다의 고유종이나 해양보호생물 등 보전 가치가 높은 해양생물의 증식과 복원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해양생물종복원센터 설치에 대한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면서 “최적지가 바로 영덕”이라고 밝혔다.

앞서 경북도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영덕군은 지난 5월 이같은 공감대를 바탕으로 해양 생물의 다양성 보전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해양생물종복원센터 유치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영덕군은 국립해양생물 종복원센터 건립을 위한 내년도 국비 예산 430억 원을 편성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해양생물종복원센터는 해양생물의 종 증식과 복원을 중심으로 해양생물 구조·치료, 해양생태계 보전·관리를 위해 △해양보호생물 등에 대한 종 증식·복원 연구 ·좌초하거나 혼획된 해양생물에 대한 구조·치료 △유해교란 해양생물 연구 △서식지 보존 △대국민 전시·교육·홍보 등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또 해양생물종복원센터는 해양보호생물의 장기적인 증식과 복원을 통해 개체 수를 회복하고, 한반도 주변 해양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해양생태계 주권 확립에 역할을 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영덕군은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해역을 끼고 있어 해양생물 다양성이 높고 해양보호생물의 혼획과 좌초가 자주 발생하는 곳이자 대형 국립기관이 없다”며 “영덕에 해양생물 종복원센터를 건립해 영양의 멸종위기종복원센터와 함께 종복원 선도 지자체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이희진 영덕군수는 “경북 동해안에는 고래를 비롯한 풍부하고 다양한 해양생물종이 서식하고 있고 그 중심이 영덕이다”며 “동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해양보호생물을 체계적으로 보호·보전할 수 있는 해양생물종복원센터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병현기자·박윤식기자

    손병현기자·박윤식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