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아비정전’(1990)이나 ‘중경삼림’

(1995) 같은 영화를 기억하실지 모르겠다. 당대 동아시아 영화 관객들의 우상으로 군림한 왕가위. 그는 1995년 ‘동사서독’으로 엇갈린 남녀의 인연과 애증을 무협의 형식으로 풀어낸다. 한국 관객이 기억하는 그의 대표작은 ‘화양연화’(2000)일 것이다. 21세기 들어 왕가위는 ‘2046’(2004), ‘마이 블루베리 나이츠’(2008), ‘일대종사’(2013) 같은 작품으로 관객과 만나고 있다.

그의 영화 가운데 이해하기 어렵다는 ‘동사서독’은 허무적이고 우울한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몽환적인 장면묘사가 곳곳에 나오고, 인물들의 관계도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래서인지 영화를 보긴 했는데, 무슨 영환지 모르겠다고 하는 관객도 적잖다. 왕가위 사단이 대거 등장하는 ‘동사서독’의 고갱이는 부차적인 인물들의 몫이다.

해마다 복사꽃 필 무렵 서독 구양봉(장국영)을 찾아오는 동사 황약사(양가휘). 그는 절친인 맹무살수(양조위)의 아내 도화(유가령)을 사랑한다.

서독은 고향 백타산에 두고 온 여인 자애인(장만옥)을 잊지 못한다. 그의 형수가 되어 아이까지 있지만, 자애인 역시 서독을 그리워한다. 객잔에 모룡연(임청하)이 찾아온다. 모룡연은 황약사와 술을 마시며 담소하다가 어느 사품엔가 그의 사랑을 갈구하게 된다. 하지만 그것을 망각하는 황약사.

사막에 자리한 서독의 객잔은 이들 등장인물이 모여들어 각자의 사연과 인연을 풀어놓는 간이역 같은 공간이다. 이름만으로도 관객의 심장을 뛰게 하는 배우들이 등장하는 영화 ‘동사서독’. 그래서 관객은 감독이 전달하려는 문제의식을 잘 포착하지 못한다. 배우들의 광휘가 너무 강렬하기 때문이다. 배경에 취해버리는 어리숙한 관객의 면모가 약여(躍如)하다.

그들을 전경(前景)에 두고 홍칠(장학우)과 그의 아내, 당나귀 소녀(양채니)가 등장한다. 동생의 원수를 갚고자 하지만, 가진 것이 달걀 몇 알과 당나귀밖에 없는 소녀. 고향에서 남편을 찾아와 함께 가기를 고집하는 촌스러운 아내를 둔 살수 홍칠. 그는 소녀의 원한을 풀어주고 아내와 함께 사막을 건너 길을 떠난다.

오래전에 자애인이 듣고자 했던 사랑한다는 말을 하지 않은 채 고향을 등진 서독은 홍칠이 떠난 다음 독백한다. “오래도록 사막에 살았지만, 나는 사막을 보지 못했다.” 서독의 독백에 사태의 핵심이 있다. 자애인이 죽은 다음 객잔을 불태우고 표표히 길 떠나는 서독.

우리는 화려하고 은성(殷盛)한 사랑 이야기에 넋을 놓고 영화에 빠져든다. 왕가위는 위장막에 은폐된 사랑의 본질을 말한다. 당신을 좇는 인연에 따르라는 단출한 가르침이다. 소녀의 애끓는 호소를 물리치고, 아내와 함께 장삼이사의 길을 가는 홍칠.

아마 그것이 왕가위가 바라보는 사랑의 종착점일지 모르겠다. 왜 그렇게 엇갈리고 애달파하면서 고통과 한탄, 연민과 그리움으로 괴로워하고 있는가! 그것을 놓아버리라고 왕가위는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붙잡을 수 없는 계절이 한사코 겨울로, 겨울로 달려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