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세상이 힘들다. 삶이 버겁다. 어렵고 고단한 날들이 이어지면, 나만 생각하게 된다. 난관과 질곡에서 탈출할 생각에 붙들리면, 함께 사는 이웃을 잊어버린다. 친구와 가족마저 서서히 남이 되고만다. 급기야 나만의 감옥에 갇히게 되면 살아 버티는 일조차 고난이 된다. 인류가 살아온 자취가 길고 다양하지만, 개인의 삶이 언젠들 즐겁기만 하였을까. 사람 인(人)에 보이듯 사람은 서로 기대어 살아야 한다. 내가 오늘 지나며 누리는 일상의 자락들 가운데 나 혼자 만든 일은 하나도 없다. 사람은 더불어 살아야 한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공동체를 확인해야 한다. 똑똑한 인류는 묘수를 발견하였다. 공동체를 다시 확인하고 즐거움을 함께 경험할 기회를 찾아내었다. 축제.

축제는 혹 낭비가 아닐까. 이렇게 어려운데 막대한 예산까지 사용하는 축제는 시간과 돈과 노력을 헛되이 쓰는 게 아닐까. 축제의 의미를 오해하면 그렇게 보이기도 한다. 뜻을 잘못 세우고 운영에 미숙하여 실수가 있을 수는 있어도, 우리네 삶에 축제는 필요하다. 누구든 살아가는 가운데 축제의 순간을 맛보아야 한다. 개인의 삶에도 늘 힘들기만 하면 어찌할 것인가. 이따금씩 숨구멍이 생기고 먹구름이 걷혀야 살아갈 힘과 용기를 경험하는 게 아닌가. 잿빛 하늘이 파란 창공으로 변하는 순간이 있어야 한다. 자신만 탓하며 늪처럼 가라앉던 나날에도 함께 살아가는 이웃이 있었음이 보일 때면 공감과 배려가 피어오른다. 공동체는 부활하고 개인은 다시 시작할 용기를 추스른다.

지역 축제는 소중하다. 다만 코로나19 상황과 미래사회를 내다보며 축제의 접근방식과 운영형태가 바뀌어야 한다. 비대면을 강조하면서도 시민의 참여를 유지하는 새로운 시도가 있어야 한다. 최근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에서 ‘스틸아트투어앱’을 적용하여 흥미를 가진 개인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일상 속의 축제로 만든 일은 주목할 만하다. 디지털 뉴미디어 환경에서 온라인과 비대면이 일상의 요소가 된 이상, 축제도 예외일 수 없다. 포항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단계적으로 시도하여 하이브리드 축제를 실현한 일도 앞서가는 시도로 평가되어야 한다.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문화민주주의에도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들이는 노력과 수고가 보다 강화된 홍보와 마케팅으로 더욱 발전해 가기를 기대한다.

축제도 변해야 한다. 관객관람형에서 시민참여형으로 진화해야 하며 아날로그 일변도에서 디지털을 강화한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발전해야 한다. 축제의 결실은 모두 참여하는 시민이 누려야 한다. 고단한 일상에 숨통을 틔우는 정점이 되어야 하고 도시가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전환점이 되어야 한다. ‘예전처럼 축제하기는 점점 어려워진다’는 축제기획팀장의 고백은 시민을 위한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겠다는 다짐으로 들린다.

무료하고 힘들던 일상이 축제 덕에 확 바뀌었으면 한다. 힘든 세상에 다리가 되는 축제를 만나고 싶다. 축제가 살아나면 지역이 솟아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