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와를 얹은 불국사역.

경주 불국사역에는 무궁화호만 지난다. 멀리서 바라보면 전통 기와를 얌전히 이고 있어서 새로 만들어진 역에서 느낄 수 없는 세월이 느껴진다. 가을 햇살이 그 위로 살포시 내려앉는다. 조그마한 역이지만 100년의 역사를 품고 있어서인지 작지만은 않게 느껴진다. 함께 간 친구는 불국사란 이름이 붙은 역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고 한다. 불국사 근처에는 시장 이름도 불국사시장, 밀면집도 불국사를 앞에 달고 장사를 하고, 길 이름도 불국로라 붙였다. 불국사의 그늘이 넓게 펼쳐져 있다.

고려말 조선 초의 문인 ‘이행’은 소를 타고 여행을 했다. 그는 달 밝은 밤이면 술 한 병 옆에 차고 소 등에 걸터앉아 느릿느릿 산수를 거닐었다. 소보다는 말이 빠르지만 모든 것은 천천히 보아야 그 진가를 알 수 있는 법이라고 읊조렸다. 빠르기로 치면 KTX 열차가 제일이지만 달빛에 비친 아름다운 자연을 찬찬히 보기엔 소를 탄 것처럼 무궁화 열차만 한 것이 없을 것이다. 그 옛날에 사라진 비둘기호의 전설은 뒤로 미뤄두고 말이다. 느림의 미학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기 시작하며 천천히 자연을 감상하는 둘레길이 만들어지고 스스로를 슬로우시티라고 이름 붙이는 곳이 늘어났다.

경주는 이런 이름을 붙이지 않아도 느리게 여행하기에 좋은 곳이다. 그 처음 시작이 불국사역이다. 몇 해 전 포항에서 기차를 타고 이곳을 지나갔었다. 부산 구포역을 거쳐 순천까지 가는 열차였다. 새벽에 출발해서 해운대를 지날 때쯤 바다에서 해가 떠오른다. 그 장면을 보려고 일부러 무궁화호를 탔었다. 그해를 마지막으로 해운대 노선이 다른 곳으로 옮겨져서 지금은 그 레일 위로 관광열차가 다닌다.

불국사역은 일제강점기에 지어졌지만, 조선 시대 전통 건축양식을 간직하고 있다. 1918년 11월 기차 운행이 시작된 불국사역은 올해로 102년을 맞았다. 오랜 역사와 문화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코레일이 2013년 철도기념물로 지정하기도 했다. 불국사역은 부산~울산~경주~포항을 잇는 동해남부선 무궁화호 열차가 하루 36차례 운행 중이며, 피서철과 여행 성수기에는 2000여 명이 불국사역을 찾는다. 기차를 타려고 역사를 나가니 레일 앞에 향나무 몇 그루가 우리를 반긴다. 기차가 처음 달리던 날 심었다고 이름표를 달았다. 5~10년 된 것을 심었다고 하니 불국사역보다 나이가 많다. 우둘투둘한 몸피에 이곳을 지나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가득 품고 있어서 함부로 말을 놓지 못하는 위엄이 느껴졌다.

“기차가 서지 않는 간이역에 키 작은 소나무 하나…”, 이규석의 ‘기차와 소나무’라는 곡이다. 노래 속에 소나무는 휙 지나치는 기차라도 볼 텐데 불국사역에 향나무는 곧 기차를 보지 못하게 된다. 동해남부선(총 142㎞·경주구간 52.4㎞) 복선화와 철도 이설사업으로 2021년 말이면 지금의 철도가 폐쇄돼 불국사역의 역할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열차 여행 애호가들을 중심으로 불국사역을 살리자(불사조-불국사를 사수하는 조직모임)는 취지의 서명운동이 지난해 5월부터 진행 중이라고 한다.

김순희수필가
김순희수필가

거기에 이름을 올려 힘을 보태야겠다. 나도 초등학교 수학여행을 경주로 왔었다. 느리게 역마다 서는 비둘기호를 타고 “조개껍질 묶어 그녀의 목에 걸고” 이렇게 부르는 노랫말을 “독사 껍질 벗겨 그녀에 목에 걸면 그녀는 깜짝 놀라…”로 바꿔 돌림노래로 부르며. 지금도 친구들을 만나면 까르르 웃게 되는 기차의 추억이다.

향나무가 들려주는 100년의 이야기에 취해 있자니 기차가 들어온다. 호계역에서 달려온 기차는 젊은 연인들을 내려놓고 경주역을 향해 뒷모습을 남기며 가을 속으로 사라져 간다.

향나무 아래 코스모스 꽃밭을 배경으로 기차의 꼬리를 넣어 한 컷의 사진을 남긴다. 얼마의 시간이 지나면 불국사역의 무궁화호 모습도 역사 속의 한 장면으로 남을 테니. 기차역에는 사람과 기차가 드나드는 게 제모습이다. 향나무가 더 많은 이야기를 품고 그 자리를 지키길 기도하며 역을 빠져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