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래 <br>수필가·시조시인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코스모스가 지고나면 들국화가 제철을 맞는다. 여름의 열기가 덜 가신 초가을에 어울리는 꽃이 코스모스라면 들국화는 그보다 더 깊어진 가을에 어울리는 꽃이다. 그런데 들국화란 이름은 흔히 쓰이지만 막상 식물도감에는 나오지 않는다. 가을의 산과 들에 자생하는 쑥부쟁이나 구절초, 산국 같은 국화과 꽃들을 총칭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산야에 자생하는 꽃들을 통틀어 야생화라 하는 것처럼.

“ 쑥부쟁이와 구절초를/ 구별하지 못하는 너하고/ 이 들길 여태 걸어왔다니/ 나여, 나는 지금부터 너하고 절교(絶交)다!” 안도현 시인의 ‘무식한 놈’이란 시 전문이다. 명색이 시인이면서 그것도 몰랐던 자신을 자책하는 시이다. 사실 쑥부쟁이와 구절초를 구별할 줄 아는 사람은 많지가 않다.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지 않고서는 구별이 잘 안 되게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바쁜 세상에 그따위 풀꽃이나 구별한다고 무슨 득이 되겠느냐고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시인이 아니라도 그 정도는 아는 것이 교양이라는 게 내 생각이다.

세상의 어떤 지식보다도 종요로운 것이 자연에 대한 지식이다. 인류의 문명은 물론 생명까지도 자연에서 비롯된 것일진대, 자연을 모르는 사람은 그야말로 ‘무식한 놈’인 것이다. 하루 세 끼 제 입으로 들어가 목숨을 연장하는 음식의 출처도 모르면서 다른 무슨 대단한 걸 안다고 잘난 체 할 것인가. 그런즉 이 가을에는 들국화에 대한 공부라도 제대로 해서 무식을 면해 보시기 바란다.

들국화를 대표하는 꽃으로는 아무래도 쑥부쟁이를 꼽아야 할 것이다, 가을 들녘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꽃이기 때문이다. 개화기간도 길어서 초가을부터 늦가을까지 줄곧 피고진다. 비슷하게 생긴 벌개미취나 구절초가 있지만 쑥부쟁이만큼 흔하지는 않다. 그 중에서 쑥부쟁이와 벌개미취는 연한 자주색 꽃만으로는 거의 구별이 되지 않는다. 쑥부쟁이보다 잎이 훨씬 크고 줄기가 튼튼한 것이 벌개미취인데 요즘은 원예용으로 개량해서 화단에 심기도 한다. 구절초는 쑥부쟁이에 비해 흔치가 않은데다 주로 산자락에 핀다. 꽃잎은 희거나 엷은 분홍색인데 쑥부쟁이보다 넓다. 줄기도 곧고 단순한 편이어서 관심과 눈썰미가 있는 사람은 금방 알 수가 있다.

가을 야생화로는 산국을 빼놓을 수 없다. 쑥부쟁이만큼이나 흔하지만 꽃이 노랗고 자잘하기 때문에 혼동할 여지는 없다. 들과 산의 경계쯤에 흔하게 피는 꽃인데 향기가 진해서 국화차로도 많이 쓰인다. 요즘은 산국과 꽃의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지만 색깔이 하얀 미국쑥부쟁이가 무서운 속도로 들녘을 잠식하고 있어 생태계 교란을 우려할 정도다. 북미 원산으로 한국전쟁 기간 동안에 미군 군수물자에 섞여 들어온 신귀화식물이라는데, 가을의 정취마저 바꾸어 놓을 것 같은 서슬이 자연스럽게 다가오지는 않는다.

산에 들에 들국화가 피어서 이 가을날이 얼마나 향기롭고 정겨운가. 이렇게 고운 꽃들로 장식한 세상에 살아있다는 것이 얼마나 기쁘고 다행한 일인가. 누가 뭐라 하는가. 우리 모두는 자연이 정성껏 차려놓은 연회장에 초대받은 손님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