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희작가·인문글쓰기 강사
유영희
작가​​​​​​​·인문글쓰기 강사

매스컴에서 듣던 조현병 환자의 이야기가 어느샌가 가까워지기 시작했다. 내 주변에도 가족이 조현병을 앓고 있어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가족들조차 조현병을 비롯한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잘 몰라서 우왕좌왕한다.

그래서인지 “사랑하는 사람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을 때”라는 책에 유난히 관심이 갔다. 이 책은 가족이 정신병을 앓는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면 좋을지 알려주는 책이다. 책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현실을 잘못 보는 환자와 논쟁하지 말라는 것이다.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들은 현실 인식이 부족하다. 현실을 왜곡해서 본다. 주변 사람들은 그를 설득하려고 한다. 그건 A가 아니야, B야. 아무리 설명을 하고 납득을 시키려 해도 받아들이지 않는다.

때로는 정신질환이 아니더라도 큰 병을 앓다 보면 이상한 소리를 듣기도 한다. 5년 전 돌아가신 엄마는 파킨슨씨 병을 앓으면서 환청이 있으셨다. 내 신발에 도청장치가 있어, 사람들이 나와서 나한테 소리를 질러, 누가 죽었대 등등. 이런 말씀을 하실 때마다 그렇지 않다고 설명해도 받아들이지 않으셨다.

책에서는 이런 환자들에게 설득하려 들지 말라고 조언해준다. 심하게 흥분했을 때는 잠시 거리를 두는 것이 좋고, 그 망상이 누군가를 해치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개입하지 말고 가볍게 흘려듣거나 슬며시 화제를 바꾸라고 한다. 논리적으로 반박하거나 논쟁하지 말고 대신 그 밑에 깔린 감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라고 한다.

그런데 이런 조언은 정신질환자가 아닌 사람에게도 적용될 수 있을 것 같다. 사회적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하는 사람들도 비현실적인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아무리 논리적으로 설득하고 실증적인 증거를 들이대도 수용하지 않는다. 책의 조언을 적용하면, 이때 그런 생각과 논쟁하거나 교정하려 들지 말아야 한다. 그 생각이 누구에게 해를 끼치거나 강요하지 않는다면 굳이 개입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런 설득은 성공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때로는 비논리적인 사고로 남을 미워하거나 자신을 괴롭히는 사람도 있다. 그런 감정이 비상식적인 행동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한때 나는 실패한 사람이라는 부정적 감정에 휩싸여 제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한 적이 있다. 상담사가 아무리 나의 성취한 부분을 말해주어도 부정하거나 폄하하면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럴 때 상담사가 논리적으로 내 생각을 반박하려 하지 말고, 그 생각 뒤에 숨은 감정을 알아주었으면 더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정신질환자들이 자신의 병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을 인정했을 때 오는 후폭풍, 예를 들어 자신의 현실을 직시했을 때 오는 부담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대목 역시 정상 범주에 들어가는 사람들에게도 유효한 대목이다. 방귀 뀐 사람이 성낸다는 말이 있다. 그럴 때 논리적으로 그 사람의 감정과 행동을 반박하기보다 부끄러움이라는 속감정을 이해해주는 것이 그 사람과 같이 살기 위한 방법이다. 정상과 병리 사이는 멀고도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