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크 댑싸리 멀리 탑이 보인다.

“저~기, 꽃도 아이고 나무도 아이고 붉은색 보이지요? 거기시더.”

영산서원을 구경하고 난 뒤 해설사에게 근처에 탑이 두 개 있다는 이정표를 봤는데 어디쯤 있냐고 물었다. 언덕에 자리한 서원이라 마당에서 마을과 들판이 훤히 내려다보였다. 가을 햇살이 하도 눈이 부셔서 손양산을 하고서 들을 ‘주욱’ 훑었다. 어딘지 헤매는 우리에게 손짓으로 알려준 곳에 꽃밭이 있었다. 모양은 나무인데 키가 낮고 색이 붉기도 하고 분홍빛도 어우러져 진짜 꽃밭처럼 느껴졌다. 그 밭 언저리에 언뜻 탑이 보였다. 그것은 삼층탑이고 거기서 다리를 건너면 오층탑이 있을 거라고 알려주셨다.

차를 몰고 가까이 갈수록 꽃밭의 형체가 드러났다. 시골집 마당 가에 많이 심는 댑싸리였다. 보통은 연두색이다가 베어서 빗자루를 만들어 마당을 쓰는 용도로 썼던 그 풀이다. 핑크뮬리처럼 색이 고와서인지 이미 사람들이 다녀간 흔적이 많았고, 한적한 시골 동네에 차가 끊이지 않고 들어왔다. 분홍빛에 묻혀 인증샷을 찍기 위해서였다.

꽃밭 너머에 삼층탑이 섰다. 저 멀리 당간지주도 덩그러니 놓였다. 댑싸리 지나 풀밭을 헤치고 가까이 갔다. 탑의 여러 곳이 깨지고 오랜 세월의 흔적이 묻어 있다.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12지신상을 한 면에 3구씩 새겼다. 탑신의 1층 몸돌에는 각 면마다 사천왕상을 도드라지게 새겼다. 각 층의 지붕돌 밑면에는 물을 뺄 수 있도록 홈이 파여 있고, 4단의 받침을 두었다. 이 탑은 전체적인 구성이나 조각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경에 세워진 것이라 한다. 이곳에 ‘북악사’라는 사찰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요즘 들어 영양에 자주 갔다. 길이 새로 난 덕분에 멀기만 하던 영양이 내 곁으로 성큼 다가온 덕분이다. 영덕에서 고속도로에 차를 올리면 20여 분만에 톨게이트에 내려서라고 하니 포항에서 한 시간 좀 더 가면 된다. 육지 안의 섬이라고 할 만큼 깊은 산 속에 자리한 곳이라 다소 낯설다는 느낌이 드는데 의외로 오래된 종택을 비롯해 국가지정 문화재들이 많이 남아 있다.

이 가운데 특히 탑과 관련한 문화재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보통 탑이라고 하면 산을 올라야 볼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영양군의 경우 대부분 마을이나 길가에 탑이 있어 접근성 면에서 좋다. 탑이 있다는 것은 곧 영양 지역에 사찰이 많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오늘은 두 개의 탑을 보러 갔다. 밭 가운데 자리한 영양 현리 삼층석탑과 모전석탑 계열의 현이동모전오층석탑이다.

분홍 댑싸리 밭을 나와 다리를 건너면 숲으로 둘러싸인 곳에 탑이 고개를 내밀고 있다. 현리 2교의 반대편이자, 현동교를 지나면 이내 현이동모전오층석탑 만날 수 있다. 작은 사찰 내에 자리한 이 탑은 듬직한 형 같아서 건너편의 삼층석탑을 보살피려 내려다보고 있다.

일월산에서 발원해 흐르는 반변천 가에 탑 두 개가 마주 보고 있다. 강가의 고가차도 아래에는 많은 사람들이 텐트를 치고 있어, 그 강을 따라 내려가면 국보 제187호 봉감모전오층석탑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영양에는 하천변에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김순희수필가
김순희수필가

절이 사람을 불러들이던 현리에 이제 탑만 남았다. 핑크 댑싸리가 절의 역할을 대신한다. 나와 남편 말고 탑에 관심을 갖는 이가 거의 없었다. 모두 꽃밭 언저리만 맴돌다 이내 차를 돌려 마을을 떠났다. 여기 탑이 있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해 눈길조차 주지 않았다.

댑싸리를 삼층탑 둘레까지 심고 꽃밭 입구에 오층탑의 위치를 표시해 두면 좋겠다. 우리가 탑을 보러 갔다가 우연히 분홍 댑싸리를 득템 했듯, 댑싸리를 보러 온 사람들이 천년을 그 자리에서 천년의 풍상을 겪은 탑이 전하는 구수한 이야기를 전해 듣는 행운을 건질 수 있게 말이다. 그러면 댑싸리가 탑을 더 오래 지키는 파수꾼이 되겠지. 탑과 분홍 댑싸리가 함께 나오도록 카메라를 높이 들고 한 장의 추억을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