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지난 10월 5일은 ‘세계 한인(韓人)의 날’이었다. ‘세계 한인의 날’은 거주국 내 재외동포의 권익신장과 역량강화, 한민족의 정체성과 자긍심 고양, 동포들의 화합 및 모국과 동포 사회의 호혜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제정되었다. 세계 곳곳에 뿌리내리고 살아가는 한인 동포의 숫자는 700만 정도로 추산된다. 대구와 부산, 울산의 인구를 합친 정도의 한인들이 디아스포라를 경험하고 있는 셈이다.

오랜 세월 한반도를 거점으로 살아온 한국인은 특정한 시기와 인물을 제외하면 영토확장을 위한 정복 전쟁에 나서지 않았다. 전쟁은 숱한 인명 살상과 참화를 불러온다. 우리는 대륙(중국)과 해양(일본)으로부터 900여 차례 침략을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가 대륙이나 해양으로 전쟁하러 나간 경우는 거의 생각나지 않는다. 쓰시마 정벌과 나선정벌, ‘더러운 전쟁’이라 불리는 베트남전쟁 정도가 아닐까?!

한인들의 외국 이주는 크게 네 시기로 나뉜다. 첫 번째 시기는 1860년대 이후부터 1910년 사이다. 조선왕조의 가혹한 수탈과 억압을 피해 노동자와 농민들이 중국과 러시아, 하와이, 멕시코, 쿠바 등지로 이주한다. 두 번째 시기는 일한합방으로 국권을 상실한 1910년부터 8·15해방에 이르는 1945년까지다. 일제의 수탈을 피해 농민과 노동자들은 만주와 일본으로, 독립지사들은 중국과 러시아, 미국 등지로 떠나갔다.

세 번째 시기는 1950년대 초부터 1962년까지의 시기로 전쟁고아, 유학, 결혼 등의 이유로 대부분 미국과 캐나다로 이주했다. 네 번째 시기는 정부의 이민정책이 실행된 1962년부터 지금까지다. 대표적인 본보기가 분단 서도이칠란트로 간호사와 광부를 파견한 일이다. 1963년에서 1977년까지 파견된 광부가 7천936명, 간호사가 1만1천57명으로 2만에 이르는 젊은이들이 머나먼 이역(異域)으로 떠나갔다.

쾰른과 베를린에서 공부하면서 한인 간호사와 광부들과 만나면서 디아스포라의 실체를 경험했다. 그중에서도 환갑나이에 보훔에서 현역으로 탄을 캐던 초로의 광부와 ‘장기수후원회’를 열정적으로 돕던 쾰른의 간호사가 기억에 남는다. 1997년 문민정부가 ‘재외동포재단’을 설립하고, 1999년 국민의 정부는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을 제정-공포하면서 재외 한인들의 지위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이런 선행작업에 기초하여 참여정부는 2007년 5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10월 5일을 ‘세계 한인의 날’로 정하고 법정기념일로 제정한다. 아울러 10월 5일을 전후로 한 10월 3일 개천절과 10월 9일 한글날에 이르는 기간을 ‘재외동포주간’으로 설정-기념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부는 케이팝, 케이방역, 영화와 드라마, 방탄소년단 등의 선도적인 수용자인 해외 한인들의 성실한 삶에 고개 숙인다.

그러하되 ‘재외동포주간’ 첫날에 ‘개천절 집회’를 강행하는 자들과 경찰의 실랑이는 우울한 풍경이었다. 처참한 코로나19 상황에 정치적 목적을 탐하는 자들의 야욕이 아프게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