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깔이 다양한 우리 송편.

박완서 선생님의 ‘솔잎에 깃든 정취’란 수필을 읽었다. 사변 중에 맞은 추석에 다른 음식은 몰라도 송편만은 꼭 빚으셨던 박완서 선생님께서 솔잎이 없어 송편의 정수가 빠진 것 같아 괜찮다는 시어머니를 뒤로하고 집을 나서셨다. 전시라 지뢰가 있을지도 모를 정릉까지 사촌들과 먼 거리를 걸어가 솔잎 한 소쿠리를 따왔노라는 이야기였다. 이 글을 읽고 나니 엄마의 추석 음식이 떠올랐다.

우리 집도 제사를 지내지는 않는지라 명절 음식이 넘쳐나지도 않았고, 입도 짧고 기름진 음식을 잘 못 먹는 식성이어서 튀김류나 전을 많이 부치지는 않았다. 대신 엄마가 가장 신경 쓰시는 추석 음식은 송편이었다. 햅쌀을 방앗간에서 갈아와 찰지게 반죽한 뒤 작게 떼어낸 떡덩이 안에 푸른 콩 다발에서 까낸 콩과 밤을 주로 넣으셨던 엄마는, 반드시 솔잎을 깔고 송편을 찌셨다.

깨끗한 솔잎을 구하기 위해 추석 전에 산에 다녀오시곤 하셨다. 언제고 집어 먹어도 솔잎 지국이 나 있는 솔향이 은은한 송편이 딱 엄마 송편이었다. 평상시 어디 다니다가도 떡집에서 다른 떡은 간간이 사 먹어도 송편을 사 먹어 볼 생각은 단 한 번도 든 적이 없다. 박완서 선생님께 송편의 솔잎은 목숨도 신경 안 쓸 만큼 없으면 미완성이라도 되는 궁합이 맞는 것이었나 보다. 엄마에게 송편의 솔잎은 어떤 기억 속의 음식이었을까?

추석은 친정에서, 설은 시댁에서 보내기로 한 어머님의 결정으로 결혼 후 추석은 엄마와 보냈었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가는 동안에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음식은 못 먹어도 커피라도 한잔 사 마시고 화장실이라도 들르게 될 텐데 모두 조심해야 한다며 이번에는 엄마가 추석 때 오지 말라고 하신다. 엄마 솜씨의 송편을 맛보지 못하게 되었다. 아쉽지만 어린 아들과 함께 햅쌀가루로 익반죽을 해서 몇 개라도 빚어야겠다. 엄마가 좋아하시던 콩과 밤을 넣고 쪄보리라. 거리 두기 추석이라도 보름달은 온달이겠지.

/권현주(포항시 북구 장성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