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희<br>인문글쓰기 강사·작가<br>
유영희
인문글쓰기 강사·작가

우리는 인생을 살면서 자기가 만든 쇠사슬을 걸치고 살아가고 있다. 영화 ‘노스바스의 추억’의 주인공 도널드 설리반의 말이다. 그는 마을 사람들에게 설리라고 불린다. 사람의 생김새가 모두 다르듯이 사람들에게는 각자의 사연이 있다. 그런 사연이 사람들이 걸치고 살아가는 인생의 쇠사슬일 것이다.

설리는 아들이 돌이 되기 전에 집을 나갔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가정폭력 트라우마로 아버지 노릇에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 설리에게도 추수감사절은 매년 돌아온다. 팁탑 건설회사 사장 칼은 추수감사절에도 설리에게 일을 시킨다. 설리가 일당을 두 배로 달라고 하자 추수감사절은 정상적인 사람들을 위한 시간이라며 칼은 설리의 요구를 무시한다. 슬프게도 칼의 말처럼 명절은 정상적인 사람들, 정상적인 직업과 정상적인 가정을 가진 사람들에게만 허락되는 것이 현실이다.

영화가 만들어진 지 25년이 지났으나 아직도 그 사정은 변함이 없다. 정규직이 아니거나 직업이 없는 사람들에게 명절은 모욕의 시간이다. 부모나 배우자, 자녀 등 가족 구성원이 갖춰지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명절은 외로움의 시간이기도 하다. 설리의 담임선생님이었던 베릴 여사는 재산은 있지만 그녀만의 인생의 쇠사슬이 있다. 선생님의 아들은 엄마의 재산에만 관심을 두었고, 결국 업자에게 속아 사기를 크게 당하고 마을을 떠나버렸기 때문이다.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직업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가족의 모습도 다양해지고 있다. 누구나 정규직을 가질 수도 없고 모든 가정이 정상 가족일 수도 없다. 어쩌면 정상이라는 것 자체가 무의미해지고 있다. 이제는 누군가를 정상이냐 아니냐로 구분하기보다는 그들이 짊어진 쇠사슬 무게가 더 중요하다.

설리는 남편 노릇, 아버지 노릇에는 무책임하고 무능했지만, 지능이 모자란 러브를 끝까지 챙기며 영원한 친구임을 약속하고, 치매 노인을 돕는 등 이웃에게 친절함을 잃지 않는다. 담임선생님 역시 설리의 트라우마 치유에 도움을 주고 마침내 설리는 자신이 짊어진 인생의 쇠사슬을 조금은 내려놓을 수 있게 된다.

따지고 보면, 사람들은 자기가 그것을 왜 선택하는지 분명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팁탑 사장 칼은 대놓고 바람을 피운다. 그의 아내 토비가 설리에게 칼이 왜 그렇게 바람을 피우는지 모르겠다고 하자, 설리는 자신이 하는 절반도 그 이유를 모른다고 말한다. 그것은 많은 사람들이 자기가 의식하지 못하는 트라우마에 지배당하고 있다는 뜻일 게다.

누구에게나 트라우마는 있다. 그 트라우마 때문에 어떤 측면에서는 책임 있는 삶을 살아가지 못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그 삶이 실패했다고 할 수는 없다. 사람에게는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할 수 없는 일이 있을 뿐이다.

해마다 명절이 돌아올 때면 혼자 지낼 누군가가 생각난다. 그 사람 역시 자기 인생의 쇠사슬을 짊어지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웃에게는 무한정 친절했던 설리처럼, 끝까지 제자를 믿었던 선생님처럼, 누군가에게 연민과 사랑을 품고 있다면 그 쇠사슬의 무게는 가벼워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