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말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공식 제기한 대구경북 행정통합 문제가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른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다음 주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와 범시도민추진위원회를 각각 출범시키기로 했다. 지난 4월 대구경북연구원이 ‘대구경북 행정통합 기본구상안’을 발표하고, 지난 6월 민간주도의 첫 세미나가 있은 뒤 공식적 기구가 드디어 출범한 것이다. 공론화위원회는 지역의 학계, 경제계, 언론계 등 전문가로 구성하고 향후 행정통합과 관련한 최고 자문기구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고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 관계자는 “위원장 선출 등 공론화위가 공식 출범하면 행정통합 절차가 본 궤도에 오르는 것으로 봐도 된다”고 말하고 “10월부터는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할 것”이라 했다.

대구경북 행정통합론은 날로 비대해지는 수도권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권 중심의 초광역 도시화 시도다. 처음 시도되는 광역행정통합이라는 점에서 대구경북의 행정통합에 대한 관심도 많았다. 최근에는 부산, 경남, 울산시가 메가시티를 추진하고 광주 전남과 대전 세종시의 행정통합 움직임도 대구경북의 영향이 크다. 이젠 지역단위의 광역통합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대구경북 통합론의 출발점은 지방소멸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감이 작용했다. 날로 비대해지는 수도권에 대응할 수단으로 초광역화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대구경북은 한 뿌리라는 지역의 정서적 동질성도 행정통합에 힘을 보탰다.

특히 이 도지사의 통합론 제기에 권영진 대구시장이 화답을 함으로써 지금이 절호의 기회라는 공감대가 넓어진 것이다. 또 대구경북민의 통합 찬성 의견이 반대의 두 배를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제 대구경북은 멀고 험난하지만 반드시 가야하는 행정통합의 길로 가는 길목에 섰다. 지역민의 공감대를 넓히면서 광역행정통합의 선두주자로서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대구경북의 행정통합이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의 문제며 국가균형발전과도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널리 알려야 한다.

특히 대구경북통합 특별법 제정 등 지금부터 지역 정치권의 할 일이 많아졌다. 정치권과 행정력이 머리를 맞대 소멸위기에 봉착한 지역을 살리고 수도권과 비교경쟁력을 갖추는 500만 광역도시를 만드는데 총력을 쏟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