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광화문 집회 이후 서울은 온통 ‘코로나밭’이 된 것 같다. 마침 한동안 하루 확진자 수가 많이 줄어들어 마음도 많이 풀린 참이었다. 은평구에 확진자가 심심찮게 나오는 걸 알면서도 몇 사람이 모여 연서시장에서 저녁 먹고 무지개 호프라는 곳에서 2차까지 하기도 했다. 아무리 코로나 시절이라고, 어떻게 좋은 사람들도 안 만나고 사나?

학교도 그런 생각이었다. 방학마다 같은 과 교수들끼리 가는 학사협의회라고, 1박 2일도 가고, 한나절도 가는 행사가 있었다. 학과 일 의논도 하고 친목도 다지자는 것이다. 한동안 코로나가 잠잠했으므로 강화도 함허동천 같은 곳이면 조용하니 같은 사람들끼리 제법 분위기도 좋을 것 같았다. 하필 예정된 날짜 사나흘 전부터 그 난리가 없다. 하루 1, 2백 명도 아니고 3백명 넘게 확진자가 나오는 판에, 감염 경로조차 알 수 없는 환자들이 우후죽순이다. 종교집회다, 태극기 집회다 하는 것은 여기서 말하고 싶지도 않고, 그 동안 꽤나 안심하고 지내온 탓도 크리라. 결국은 강화도 나들이는 엄두도 못냈다. 당장 코앞에 닥친 졸업식마저 그냥 넘겨야 할 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티비에서는 연일 코로나 후유증이 얼마나 무서운지 아느냐 한다. 낫는다고 다 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당장 곧 졸업식인데, 정식 졸업식은 꿈도 못 꿀 상황. 급한 마음에 기념품을 준비하기는 했지만 이것으로 텅 빈 마음들에 보상이라도 될까. 마침 학과장이라는 직책이랍시고 앞으로 닥칠 2학기가 걱정이 앞선다. ‘예술주간’이라고 학생들 시낭송회 준비가 한창인데, 이것도 예외 없이 웹으로만 ‘공연’할 수 있다. 올해 입학한 학생들은 캠퍼스 구경도 변변히 해 본 것 없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생도 달라 보인다. 요즘 내 건강상태라면 코로나 걸리기라도 하면 그대로 황천길로 가버릴지도 모른다고 걱정하는 상황이다. 25년 ‘글쟁이’ 생활에 잃은 것은 건강이요, 얻은 것은 죽을 때까지 이 길을 놓지 않으리라는 일념뿐.

오늘은 또 무슨 태풍 ‘바비’라던가? 이름은 귀여운데, 그렇게 바람이 셀 수 없다 한다. 그렇다고 코로나 쓸어갈 것도 아니고. 태풍 예보 속에서 일찍 집으로 돌아와 마음 차분히 가라앉혀 본다. 이런 때니 더는 돌아다니지 않아야겠다고 생각한다. 밀린 글이며, 논문이며, 시 한 편이라도 정성을 들이자.

한밤이 되자 안 듣던 고전음악까지 들어본다. 본 윌리엄스의 ‘토마스 탤리스 주제에 의한 환상곡’. 오랜만에 유튜브로 듣는 이 악곡은 모던시대에 영국적 전통을 되살린 것이라고 했다. 앞서 가는 것보다 깊이 침잠하는 것이 오래 가는 것이라는 뜻일까. 장려한 음악 속에서 옛날 소설 ‘몽유록’들을 펼친다. 오늘 단재 신채호와 관련해서 다 못 푼 문제다. ‘원생몽유록’ 속에 무슨 해답이 있을 것도 같다.

/방민호 <서울대 국문과 교수> /삽화 = 이철진 <한국화가>